>> 이슬람 > 마디운

연관태그 검색 [태그 in 태그]
000굴덴이란 거금을 요구했습니다. 그리고 그 가 전쟁 초창기부터 거느렸던 삐닐리(Pinilih) 부 족으로 이루어진 1 000명 규모의 직속부대를 계 속 지휘하고 소총 500정을 추가해 그들의 무장을 강화해 줄 것을 요청했죠. 삐닐리 부족은 북부 술 라웨시 미나하사(Minahasa)의 부족으로 1826 년 슬라롱을 네덜란드와 뺏고 뺏길 당시 탈환전 선봉에서 용맹을 과시한 바 있었습니다. 이제 그 들의 용맹은 더 이상 디포네고로의 편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항복한다고 해서 우리가 이스람을 배교한다는 것은 아니오. 우린 더욱 철저히 알라의 가르침을 따를 것이오.” 센똣은 이렇게 말하며 소르반(Sorban)이라 불 리는 아랍식 두건용 천을 계속 사용하고 네덜란드 군과의 회식 때 위스키를 마시지 않는다는 조건을 달았습니다. 그건 투항하는 마당에 마지막 자존심 을 지키는 모양새였지만 그런 모습에 어떤 이들은 안쓰러움을 270억 루 피아)으로 당시로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천문학 적 금액이었습니다. 더욱이 나중에 스텔셀 요새 작전을 수행하면서 더욱 촘촘한 요새건설과 부대 의 기민한 기동력을 담보하는 데에도 과중한 비용 이 소모되었으므로 네덜란드 본국에서는 디포네 고로 전쟁을 식민정부의 그루트 온헤일렌(groote onheilen - 대재앙)이라 부를 정도였습니다. 재 정적자는 1 500만 굴덴(약 1 800만 굴덴(약 920억 루피아)에 달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1827년 한 해 동안 유럽인 병사 3천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는데 이는 디포네 고로군의 사상자 수에 못지 않은 수치였습니다. 1828년 초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총독과 군사령 관이 모두 교체된 것은 이 대재앙에 대한 문책도 포함되어 있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다시 동인도 군 총사령관에 복귀한 드콕 장군은 1828년부터 1829년 두 해 동안 이 대재앙을 하루 속히 끝내라 는 본국의 강력한 압박을 받고 있었죠. 그래서 드콕 장군은 급기야 회합을 미끼로 디포 네고로 왕자를 방어선 밖으로 끌어내 사로잡으려 했습니다. 그를 잡으면 전쟁은 자동적으로 끝날 터였습니다. 자바의 귀족들이 일단 뱉은 말을 지 키지 못하면 큰 수치로 여긴다는 것을 잘 알고 있 던 드콕 장군은 클레이런스 대령(Kolonel Cleerens) 를 독려해 디포네고로 왕자가 스스로 협상 을 약속하도록 부추겼습니다. 이러한 네덜란드 측 꼼수의 일환으로 이미 투항한 센똣 알리바사 같은 이들이 디포네고로 왕자를 회유하기 위해 동원되 기도 했습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1830년 디포네 고로 왕자는 그와 자신의 군대가 입은 심각한 내 상을 숨긴 채 네덜란드의 협상에 응하기 시작했습 니다. (제6장 끝) “어서 오세요. 세랑 왕자님!” 슬라롱의 본진에선 디포네고로 왕자는 물론 “에루쪼끄로에겐 네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그 것은 제왕 각 지방의 지방총독 보 좌관(부지사) 공의의 설파자 국가 군사적 역량을 키워오던 중 마침 말뚝 사건이 벌어졌던 것입니다. 그러니 그것이 자바 전쟁으 로 비화된 것은 절대 우연이 아닙니다. 디포네고 로 왕자가 드디어 숙청의 빌미가 될 미끼를 물었 다고 다누레조 재상과 네덜란드 총독부가 쾌재를 부르던 그 순간 정작 디포네고로 왕자 자신은 자 바땅을 되찾아 이슬람국가를 세우기 위해 그동안 준비한 모든 역량을 동원할 시기가 드디어 온 것 이라 생각했던 것입니다. (제4장 끝) 제5장 불타오르는 자바 “우리들의 전략적 목적은 이 땅에서 네덜란드인 들과 중국인들을 완전히 몰아내고 왕국을 우리 손 으로 되찾아 온전히 지배하는 것입니다.” 고아슬라롱에 마련된 본진 사령부 막사에서 망 꾸부미 왕자와 끼아이 모조를 비롯해 왕족 군사전략과 세 부 행동에 대한 기초를 완성했습니다. 하멍꾸부워 노 4세 입누자롯이 처참하게 유명을 달리한 후 세 살짜리 술탄이 즉위해 족자 술탄국이 실질적 지도 자 없이 표류할 때 지난 십 수년간 끄라톤에서의 활동을 통해 분명한 자리매김을 한 디포네고로 왕 자를 유일한 희망이자 진정한 지도자로 여긴 백성 들과 이슬람 지도자들 귀족 들로 구성된 지휘관들에게 디포네고로 왕자는 이 저항전쟁의 목적을 분명히 했습니다. 침략자인 네 덜란드뿐 아니라 오랜 기간 동인도에 뿌리를 내리 고 살아온 중국인(화교)까지 몰아내야 할 이민족 으로 규정한 것은 그들이 정부의 세금징수업무를 위임받아 위세를 부렸고 총독부나 네덜란드 개인 사업자들의 하수인으로서 자바 백성들 위에서 대 체로 군림하며 호가호의하고 있다는 이유가 컸습 니다. 디포네고로 왕자는 1812년 아버지 하멍꾸 부워노 3세의 두 번쨰 즉위식에서 영국군에게 협 조하여 끄라톤 함락에 일조한 공으로 뚜먼궁의 작 위를 하사받고 나요코(Nayoko)의 영주가 된 현 지 중국인 사회 우두머리 딴진싱(Tan Jin Sing) 이 희희낙락하던 모습을 잊을 수 없었습니다. 결 과적으로 그는 하멍꾸부워노 2세를 폐위시켜 유 배보낸 공로자 중 한 명으로서 그 아들인 하멍꾸 부워노 3세에게 표창과 포상을 받은 것입니다. 디 포네고로 왕자는 그날 아버지의 얼굴에 나타났던 치욕적인 표정을 마치 조금 전에 벌어진 일처럼 생생하게 기억했습니다. 디포네고로 왕자에게 자 바땅의 중국인들은 딴진싱으로 대변되는 반역자 들이란 인상이 강했던 것입니다. 당시 전투가 벌어졌던 지역들 http://www.sekelumitpandang.com 28 I 한인뉴스 2024년 10월호 포네고로군에 합류했습니다. 디포네고로 왕자는 이렇게 확보된 조직을 토대로 술탄국 전체를 몇 개의 전역(戰域)으로 나누고 각 지역사령관과 부 대장들 귀족들이 속속모여 들었던 것이죠. 뜨갈레조는 자바를 떠돌며 포교활동을 하 던 이슬람 학자들과의 부단한 서신교환을 통해 자 연스럽게 자바 전역과 연대하고 소통하는 네트워 크의 중심지이기도 했습니다. 그러한 소통을 통해 그는 자바 전역의 지역사회 를 분석하고 지지기반으로 삼았는데 군대를 구성 할 때에도 각 지역별 특성을 전투능력의 데이터로 사용했습니다. 그는 이런 말을 하기도 했거든요. “마디운(Madiun) 사람들을 첫 번째 공세를 막 디포네고로 왕자와 자바전쟁 배동선작가의 술술 읽히는 인도네시아 역사 14 아내는 데에 훌륭한 능력은 발휘하지만 그 후로는 큰 도움이 되지 않소. 빠장(Pajang) 사람들은 용 맹스럽기 그지없지만 역시 오래 버티기엔 능하지 않아요. 바글렌(Bagelen) 사람들은 자기 지역에 서 전투가 벌어질 경우 가장 요긴한 전력이 될 것 이요. 하지만 타 지역 전투에 투입된다면 쉽게 전 열이 무너질 것입니다. 그런데 마타람 사람들은 이 모든 면에서 뛰어나다오. 그들은 강고히 적과 맞설 수 있고 전투의 우선순위를 알 뿐 아니라 전 쟁이 필연적으로 가져올 처참한 파국조차 초연히 견뎌낼 수 있소.” 뿐만 아니라 그는 은밀하게 정보망을 구축해 활 용했는데 이는 자바 전쟁을 수행하면서 적의 동향 을 파악하는 데에 오랫동안 큰 도움을 주었습니 다. 그는 네덜란드 지방총독과 부지사들은 물론 그들과 손잡은 끄라톤 왕궁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궁전뿐만 아니라 다누레조 재상 그 리고 가득찬 신뢰입니다. 술탄께서는 이중 하나 만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무엇을 선택하시겠 습니까?” “그렇다면…… 그렇게 군대를 나누면 슬라롱의 디포네고로군 본진을 칠 병력이 얼마 남지 않습니 다. 일부 지역을 잠시 포기하고 슬라롱 공격에 집 중하심이….” “적들이 우리 배후를 따라잡게 놔둘 수는 없는 디포네고로 왕자와 자바전쟁 배동선작가의 술술 읽히는 인도네시아 역사 16 일이요. 저들을 방치하면 우리가 슬라롱에서 섬 멸전을 벌이는 동안 족자를 동서 양쪽에서 압박해 오게 될 것이오.” 디포네고로 왕자의 봉기에 동조해 자바 전역에 서 들불처럼 일어난 백성들의 반란은 네덜란드군 이 자바섬 밖에서 힘겹게 소환해온 병력들을 적절 히 분산시키며 디포네고로군에게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1825년 10월 2일과 4일에 대대적인 슬라롱 공격이 감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때 디포네고로는 미리 공격정보를 파악 해 한발 앞서 덱소(Dekso)로 본진을 옮겼고 부녀 자들과 노인 그리고 자신 이 오갈 때 네덜란드군 기병대의 호위까지 자연스 럽게 요구했던 것입니다. 위로네고로는 끼아이 모 조가 정말 전쟁을 종식시킬 의지가 있다면 그 모 든 요구들을 들어주겠다고 했습니다. 네덜란드로 서는 디포네고로군의 신비주의적 이슬람 열정의 핵을 이루어온 끼아이 모조 같은 이를 전향시키 기 위해 아낌없이 예외를 만들어 줄 용의가 있었 던 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디포네고로 왕자는 당연히 격분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무슬림! 이게 도대체 무슨 짓인가? 이슬람 지도 자가 죽음이 두려워 네덜란드와 거래를 하려 한 건 가? 우리들의 신념을 믿고 명령에 따라 전장에서 목 숨을 바친 우리 병사들에게 부끄럽지도 않소? 난 당 신에게 그런 협상을 하라고 지시한 기억이 없소!” 그러나 끼아이 모조는 전쟁을 끝내려는 것이었 지 디포네고로를 배신해 네덜란드측에 전향하려 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디포네고로의 서한을 받고 마음이 무너져 내렸습니다. “전쟁을 하고 싶지 않다면 고향으로 돌아가란 말 이오!” 끼아이 모조는 디포네고로에게 서한을 보내 자 신을 만나달라고 여러 번 요청했으나 끝내 회신을 받지 못했습니다. 아직도 도처에서 벌어지던 전 투 중 수하들과 백성들이 목숨을 잃고 있는 와중 에 몰래 종전협정을 진행한 끼아이 모조를 디포네 고로 왕자는 도저히 용서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내가 도대체 무슨 짓을 하고 만 건가?’ 그는 그제서야 자신의 행동이 반역으로 비칠 수 도 있었음을 마침내 깨닫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곧은 의지를 가진 인물이엇습니다. 곧바로 네덜란드에 투항할 것이란 디포네고로군 대다수 의 예상과 달리 끼아이 모조는 자신의 추종자들을 이끌고 정말 빠장의 고향으로 낙향했습니다. 문제 는 그를 네덜란드군이 가만 두지 않았다는 점입니 다. 르 바론 드 벡셀라(Letnan Kolonel Le Baron de Vexela) 중령이 이끄는 네덜란드군이 베독 강 (Sungai Bedog) 서안에서 그 뒤를 따라잡았습니 다. 치열한 격전이 벌어졌으나 이미 사기가 바닥 북부 술라웨시 마나도 지역(중앙 호수가 똔다노 호수) 24 I 한인뉴스 2025년 4월호 에 떨어진 그의 부대는 평소의 전력을 발휘하지 못했고 끼아이 모조와 살아남은 부대원들은 네덜 란드군의 포로가 되어 살라띠가(Salatiga)의 네 덜란드군 진영으로 압송되었습니다. 끼아이 모조 는 이후 스마랑과 바타비아의 지하감옥을 전전하 다가 결국 동인도 북단인 북부 술라웨시 마나도의 똔다노(Tondano)라는 곳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여생을 마치게 됩니다. 끼아이 모조가 사로잡힌 지 얼마되지 않아 디 포네고로군의 총사령관 센똣 알리바샤(Sentot Alibasya)도 1829년 10월 17일 네덜란드에게 항복하는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이제 막 스물 두 살의 아직 어린 나이였던 센똣은 전장에서 사자와 같이 용맹을 떨쳤지만 군대를 유지할 비용에 쪼들 리자 네덜란드의 회유에 쉽게 넘어가버리고 말았 던 것입니다. 센똣을 회유하기 위해 네덜란드는 센똣의 형인 마디운 군수 쁘라위로디닝랏(Prawirodiningrat) 을 이용했습니다. 그는 항복의 첫 번째 조건으로 10 까노만 부대(Pasukan Kanoman) 등 을 창설했습니다. 이외에도 각각의 부대는 오스만 투르크 군편제에 따라 뚜르끼야(Turkiya) 꺼두 끄디리 등은 망운느가라 군수(Bupati Mangunnegara)에게 위임되었습니다. 디포네고로군의 군세는 족자 술탄국 끄땅궁 부대(Pasukan Ketanggung) 끼 아이 모조와 망꾸부미 왕자 등 디포네고로군 수뇌 들이 모두 나와 병사들을 인솔하고 들어오는 세랑 왕자를 대대적으로 환영했습니다. 계속된 전투로 너덜너덜해져 있었지만 세랑 왕자는 믿음직한 미 소로 그들의 환대에 답했고 디포네고로의 삼촌 뻘 인 그는 이후에도 눈부신 활약을 했습니다. 드콕 장군은 디포네고로의 슬라롱 본진을 포위 하려 했지만 먼저 스마랑 난 제왕의 권위를 선택하겠네.” “잘 선택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이슬람 포교자의 권위는 제가 감당하기로 하겠습니다.” “그게 무슨 말인가? 그건 곤란한 일일세.” 별 것 아닐 수 있었던 이 대화는 결과적으로 라 투아딜의 권위를 끼아이 모조가 디포네고로 왕자 와 나누어 공유하자는 것이었으므로 권력을 나누 자는 말과 다름 아니었습니다. “난 자바땅의 칼리파라네. 필요하다면 그 네 가 지 권위를 모두 갖고 싶지만 하나밖에 선택할 수 없다 해서 누군가와 그 나머지 권위를 나눌 생각 은 없네.” “하지만 그건 한 사람이 모두 감당할 수 있는 것 들이 아닙니다.” “무슬림 네덜란드 식민정부 관료들 및 그들 과 가까이 지내는 귀족들 뉴트로 부대(Pasukan Nyutro) 댕 부대(Pasukan Daeng) 뚜멍궁 다누꾸수마(Tumenggung Danukusuma)는 바글렌(Bagelen)지역을 뚜멍궁 수르요네고 로(Tumenggung Suryonegoro)와 뚜멍궁 수로 네고로(Tumenggung Suronegoro)는 족자 동 편을 뚜멍궁 신두레조(Tumenggung Sindurejo) 및 디포레조 왕자(Pangeran Diporejo)에게 뚜멍궁 쪼끄로네 고로(Tumenggung Cokronegoro)에게는 고데 안(Godean)의 방어를 맡았습니다. 또한 조요꾸 수모 왕자(Pangeran Joyokusumo-베이 왕자 (Pangeran Bei)라는 명칭으로 더 많이 불림)가 뚜멍궁 수라딜로고(Tumenggung Suradilogo) 의 도움을 받아 족자 북방을 마게탄 만둥 부대(Pasukan Mandung) 망꾸느 가라안 봉국 그리고 빠꾸알라만 봉국 군대를 모두 합친 것의 세 배를 넘어서고 있었습니다. 이제 디 포네고로 왕자는 본격적으로 네덜란드와 싸울 준 비를 갖춘 것입니다. 여기고 끄라톤 호위부대로서 만띠레조 부대(Pasukan Mantirejo) 망꾸부미 왕자에 못지 않은 중요한 직책에 올라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6월 9일 네덜란드군이 강력한 폭탄을 터 뜨려 성벽 일부를 무너뜨린 후 성안으로 밀려들자 전황은 디포네고로군에게 급격히 불리하게 전개 되었습니다. 하루 종일 계속된 전투에서 많은 희 생자를 낸 디포네고로군은 크게 패한 채 물러나야 했고 네덜란드군은 쁠레레드 수비를 위해 700명 의 병력을 남겨두었으나 디포네고로군은 더 이상 탈환 시도를 하지 않았습니다. 1826년 7월 8일 네덜란드군은 쁠레레드 승전의 여세를 몰아 다시 덱소를 공격해 왔습니다. 그러 나 이번에도 미리 정보를 입수한 디포네고로는 이 미 까수란(Kasuran)으로 본진을 옮긴 상태였습 니다. 하지만 이번엔 네덜란드군을 회피하는 것만 으로 그치지 않았습니다. 덱소를 더 이상 점령하 고 있을 이유가 없어진 네덜란드군이 7월28일 족 자로 철수하던 길에 디포네고로군은 회심의 기습 작전으로 적 부대의 허리를 끊었습니다. “알라후 악바르!” 쁠레레드 전투 삽화 (https://en.wikipedia.org) 디포네고로 전쟁 네덜란드 지원을 협의하는 마두라 술탄과 재상 (https://m.kiblat.net) 한인뉴스 2024년 12월호 I 23 신은 위대하다고 외치며 수풀 속에서 느닷없이 뛰어나와 아귀처럼 달려드는 디포네고로군은 앞 서 몇 번의 승전으로 자만에 차있던 네덜란드군 을 강타했습니다. “적장을 잡아라! 쁠레레드에서 당한 것을 철저히 갚아 주어라!” 이 전투에서 코치우스 대령과 족자 끄라톤의 두 왕자가 처참하게 전사했고 네덜란드군 사령관 환 긴(van Geen)은 간신히 목숨만 살려 수하 몇 명 과 도주하는 수모를 겪었습니다. 이 전투에서 네 덜란드군은 거의 전멸하다시피 했고 디포네고로 군은 또다시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디포네고로 왕자는 이후1826년 내내 네덜란 드와 망꾸느가라안 봉국의 군대들을 맞아 승승 장구했습니다. 바글렌에서도 농민군이 네덜란 드군을 몰아냈고 끄지완(Kejiwan)에서도 베이 왕자(Pangeran Bei-조요꾸수모 왕자)가 승전 보를 전해왔습니다. 족자 북동부 방면의 들랑구 (Delanggu) 지역에서는 양쪽의 대군이 맞붙는 매우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는데 전황이 디포네고 로군에게 크게 유리해지면서 네덜란드군을 헤치 고 나가 결과적으로 ‘들랑구 대첩’이라 불려 마 땅할 큰 승리를 거둡니다. 여기서 디포네고로군은 수십 정의 소총과 12문의 화포를 노획했습니다. 그후 한동안 네덜란드군의 활동이 크게 위축되 자 디포네고로군 전략고문이 되어 있던 끼아이 모 조의 제안에 따라 디포네고로 왕자는 수라카르타 지역에서 망꾸느가라안 봉국에 대한 대규모 공세 를 조직했습니다. 네덜란드측에 가담해온 망꾸느 가라 2세를 응징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술탄 전하 몇몇 보좌관들도 임명하는 등 조직을 만 들어 갔습니다. “우리 군대는 족자 술탄국의 편제나 네덜란드군 의 모델을 따르지 않을 것이오. 우린 강성함을 세 상에 떨쳤던 오스만 투르크의 군대 편제를 따를 것이오.” 16세기 오스만 투르크의 칼리파 부대 자니사 리(Janissari) 조직이 당시 디포네고로군에 적합 하다고 본 것은 이슬람의 기치를 세운 그에게 어 쩌면 자연스러운 것이었지만 또 한편으로는 3세 기 전 소아시아에 있던 한 국가의 군대편제를 꿰 고 있던 것에서 그의 학식의 깊이와 독서량을 가 늠할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사단장 급인 알리 파 샤(Ali Pasha)가 디포네고로 군에서는 알리바사 (Alibasah)로 몬쪼네고로(Monconegoro) 동부지역 등 술탄국 전역의 영주들과 수라카르타 수난국 경계 의 영주들에게도 전달했습니다. 그 명령서에는 그 들을 디포네고로군의 지휘관으로 삼는다는 임명 장도 동봉되어 있었습니다. “이 인간은 자기가 술탄이라도 된다고 생각하는 거야?” 그들 중엔 아직 디포네고로 왕자와 일면식도 없 이 네덜란드와 이익을 공유하는 이들도 있었으므 로 이렇게 반응하며 거절한 영주들도 있었으나 상 당수의 영주들이 그 명령과 임명장을 수용하고 디 자바전쟁 삽화 한인뉴스 2024년 10월호 I 29 Anom) 문화 바글 런(Bagelen) 바글렌 반유마스 마디운 반유마스(Banyumas) 빠장(Pajang) 지역은 머르톨로요 왕자(Pangeran Mertoloyo) 사실상 자바전쟁은 1813년 술탄 하멍꾸부워노 3세가 화병으로 사망할 때 태동하여 그로부터 10 년 후인 1823년 술탄 하멍꾸부워노 4세가 독살되 던 시기에 이미 불붙고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디포네고로 왕자는 뜨갈레조에서 스스로의 생각 을 정리해 사상과 정치 사전 허가도 없이 네덜란드군의 위로네 고로 중령과 비밀리에 교섭을 시작했습니다. 위 로네고로 왕자는 디포네고로군의 족자 끄라톤 공 지난 호에 이어 한인뉴스 2025년 4월호 I 23 격을 막아냈던 네덜란드군 측 지휘관으로 당시의 공을 인정받아 소령에서 중령으로 진급한 상태였 습니다. 당시 끼아이 모조는 이미 디포네고로군의 영적지도자였으므로 제자들은 그를 이슬람 큰선 생으로 떠받들었습니다. 나중에 나이가 든 후 땅 을 치고 후회하게 되지만 끼아이 모조는 이때 자 신만이 옳다는 종교적 자만심에 가득차게 됩니다. 그래서 그는 가족들이 빠장에 오갈 수 있는 특권 과 끄라톤 최고의 종교지도자 지위 산과 들은 물론 그들의 부대 안에도 있을 것이란 의구심이 네덜란드군 고위 장교들 사 이에 팽배했습니다. 디포네고로는 그 사이 덱소에 본진을 갖추고 부대를 재편하면서 다음 전투를 준 비했습니다. 지난 호에 이어 한인뉴스 2024년 12월호 I 21 1825년 말 디포네고로군은 이모기리를 공격하 던 네덜란드군을 격파했고 족자술탄국 동쪽 지역 에서는 뚜멍궁 수로네고로(Tumenggung Suronegoro)가 이끄는 군대가 네덜란드군 방어선을 무너뜨리며 많은 소총과 화포들을 노획했습니다. 그러나 한편 족자 술탄국 서편에서는 전열을 정 비한 네덜란드군이 덱소의 디포네고로군 본진을 포위해 들어왔습니다. 치열한 방어전에서 적잖은 인명피해를 감수하면서도 디포네고로군은 네덜란 드의 예봉을 잘 막아냈습니다. 쁠레레드(Plered)는 1677년 마두라의 뜨루노 조요 왕자가 이끈 반란군에게 함락되기 전까지 마 타람 까르타수라 왕국의 수도였던 곳으로 왕가의 인물인 디포네고로 왕자에게 매우 의미깊은 곳이 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디포네고로는1825년 쁠 레레드를 손에 넣은 후 몹시 기뻐하며 덱소의 본 진을 쁠레레드로 옮겨오기까지 했습니다. 디포네 고로군이 이동과 기동력을 최우선으로 하는 게릴 라전 위주의 군대였다 해도 본진의 잦은 이동이 번거롭지 않을 리 없었지만 그들은 기쁜 마음으로 쁠레레드에 입성했습니다. 그곳에서 디포네고로 왕자는 모든 백성들과 귀족들 세랑(Serang) 소문이 사실이었습니다. 노술탄께서 족자에 돌아오셨다는 것 말입니다.” 수라카르타 접경의 동쪽 지역으로 군대가 이동 하던 중 알리바사(사령관) 센똣 쁘라위로꾸수마 가 디포네고로 왕자의 말을 따라잡으며 우려섞인 표정으로 말을 꺼냈습니다. 일찍이 영국이 유배시 킨 노술탄 하멍꾸부워노 2세를 네덜란드가 족자 로 다시 불려들이기 위해 삐낭섬에 사람을 보냈다 는 소문이 그 사이 자바 술탄국 전역에 파다하게 퍼져 있었습니다. 그가 실제로 1826년 9월 21일 족자에 도착해 다시 술탄으로 즉위한 것입니다. “하멩꾸부워노 5세 전하를 폐위하고 노술탄께서 다시 즉위하셨다는 소문에 귀족들 사이에 동요가 있습니다. 특히 망꾸디닝랏 왕자님은 끄라톤으로 돌아가시겠다는 말씀을 공공연히 하고 다니는 모 양이고요.” 노술탄과 삐낭섬에 함께 유배되던 중 탈출해 우여 곡절 끝에 족자 술탄국에 돌아온 망꾸디닝랏 왕자 는 디포네고로군의 정예부대 중 하나인 삼비로조 (Sambirojo)의 부대를 지휘하고 있었습니다. 하멍 꾸부워노 왕가의 상당한 위치에 있던 그의 동요는 디포네고로군 전체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분으로선 다시 뵐 수 없을 거라 생각했던 아 버님이 돌아오셨으니 만감이 교차하겠지.” 다음 호에 계속 수까 와티는 까르토느가라 군수에게 수라카르타 등지에서 벌어진 농민군의 저 항에도 맞서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디엘 중령(Letkol Diell)! 자네는 반유마스 의 반군들을 진압하고 수라카르타 수난국 수리아디닝랏 왕 자(Pangeran Suryadiningrat)가 쁠레레드를 다 시 공격해 왔습니다. 네덜란드군 클리렌스 대령 덱소 22 I 한인뉴스 2024년 12월호 하지만 쁠레레드의 강고한 방어력에 네덜란드의 초반 공격은 무위에 그쳤습니다. 쁠레레드의 방 어선엔 용맹스러운 소년이 활약하고 있었는데 총 사령관 ‘알리 바사 쁘라위라디르조(Ali Basah Prawiradirjo)라 불리는 센똣 쁘라위라꾸수마 (Sentot Prawirakusuma)였습니다. 그는 당시 19살이었어요. 디포네고로의 다섯 번째 부인 라 덴 아유 렛나닝시의 이복동생이기도 합니다. 그의 아버지는 하멍꾸부워노 2세의 사위이자 디포네고 로 왕자의 장인어른이기도 한 라덴 롱고 쁘라위로 디르조(Raden Ronggo Prawirodirdjo)였고 앞 서 언급하였던 바와 같이 일찌기 마디운 반란의 수괴로 몰려 덴덜스 장군(General Daendels)에 게 죽임을 당한 인물입니다. 그런 이유로 네덜란 드를 극도로 미워한 센똣이 일찌감치 디포네고로 군에 합류해 끼아이 모조 슬라롱을 방어하는 조요네고로 왕자(Pangeran Joyonegoro)와 수르요디닝랏 왕자(pangeran Suryodiningrat) 아동들은 수웰라(Suwela)라는 지 역으로 소개해 놓은 상태였습니다. 텅 빈 슬라롱 에 도달한 네덜란드군은 아무 것도 할 수 없었으 므로 디포네고로군의 정보력과 기동력에 혀를 내 두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디포네고로가 심어놓 은 눈과 귀가 아디수르야 왕자(Pangeran Adisurya)와 수 모네고로 왕자(Pangeran Sumonegoro)는 꿀 론 쁘로고(Kulon Progo)를 아디위 노노 왕자(Pangeran Adiwinono)와 망운디뿌로 왕자(Pangeran Mangundipuro)는 꺼두(Kedu) 지역 일대를 아르 끼야(Arkiya) 같은 터키식 명칭이 붙었고 오스만 투르크 정예부대인 불키요(Bulkiyo)라는 명칭이 붙은 부대도 있었습니다. 한편 병사들에게는 총포를 비롯한 무기 일체와 함께 숲속 화약공장에서 직접 만든 탄약들도 지급 되었습니다. 디포네고로군은 반군답지 않은 매우 훌륭한 병참 시스템을 갖춰 병사들의 무장상태가 우수했는데 그것은 오랜 기간의 사전준비를 반증 하는 것이기도 했습니다. 디포네고로 왕자는 적대 세력의 귀족들과 자신을 돕는 귀족들의 명단을 각 각 작성해 지휘관들에게 배포했는데 그 블랙리스 트와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이제 누구와 손잡고 누 구를 상대로 싸워야 할지 분명해진 것입니다. 슬라롱에서 디포네고로는 지휘관급 왕족과 귀 족들에게 임무를 나누어주었습니다. 디포네고로 왕자의 아들 아놈 왕자(Pangeran Diponegoro 전투복을 입은 자바인(좌) 아부바까르 왕자(Pangeran Abu Bakar)와 뚜멍궁 자야 무스토포(Tumenggung Jaya Mustopo)는 로와노(Lowano) 지역 을 어떤 이들을 가소롭다는 표정을 애써 감춰야 했습니다. 센똣은 항복한지 일주일 후인 10월 24일 마치 개선 장군처럼 족자에 들어서며 대대적인 환영을 받았습니다. 그는 매월 100굴덴의 급여를 받는 조건으로 네덜란드 기병대 소령의 계급장을 달았 습니다. 센똣의 항복은 디포네고로군의 사기를 결정적으 로 떨어뜨렸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디포네고로 왕 자를 따르는 많은 귀족들 역시 남기고 온 가족들 이 네덜란드로부터 가혹한 처우를 받고 있다는 사 실로 고민하던 터였습니다. 센똣의 투항 이후 그 들 역시 앞다투어 속속 네덜란드에 투항하고 말았 으므로 디포네고로 왕자는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이제 전쟁이 더 이상 길어진다면 디포네고로에게 절대 유리하지만은 않을 터였습니다. 그 바로 직전인 1829년 10월 14일 디포네고로 왕자의 아내 라덴 아유 렛나닝시와 자녀들이 네덜 란드군에게 사로잡히는 사건도 벌어졌습니다. 디 포네고로는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았습니다. 이 제 네덜란드군과의 협상은 거의 불가피한 듯 보 엿습니다. 네덜란드 역시 전쟁을 빨리 끝내야만 할 상황 이었습니다. 엄청난 전쟁비용을 치르느라 식민지 운영이 파행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네덜란드군은 디포네고로를 사로잡기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했 한인뉴스 2025년 4월호 I 25 고 중상모략과 감언이설도 사용했는데 디포네고 로의 목엔 5만 굴덴의 현상금도 나붙었습니다. 하 지만 자바 민중들은 누구도 디포네고로를 배신하 지 않았습니다. 네덜란드군은 그 위세가 크게 축 소된 디포네고로군의 동선을 대체로 파악되고 있 었지만 이제 드콕 장군은 디포네고로 왕자를 함부 로 죽여 순교자를 만들고 싶지 않았습니다. 디포 네고로 왕자가 죽는다면 자바 민중들은 더욱 더 적개심을 불태우며 네덜란드에게 악에 받쳐 달려 들 터였습니다. 그것은 가장 피하고 싶은 일이었 습니다. 자바전쟁 초기인 1825-1827년 기간에 네덜란 드 측이 겪어야 했던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병 력부족의 문제였고 더욱 심각한 것은 비용문제였 습니다. 나중의 일이지만 디포네고로 전쟁을 통 틀어 네덜란드령 동인도 식민정부가 지출해야 했 던 전쟁비용은 모두 2 여단장 급인 파샤(Pasha)는 바사 (Basah)로 불렸습니다. 한편 대대장급은 아가둘 라(Agadulah)를 본따 둘라(dulah)라 했고 중대 장은 세(Seh)라 칭했습니다. 디포네고로군은 족자 끄라톤 장악을 기정사실로 “그러기 위해선 단계적인 전술목표들을 수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장 효과가 큰 목표는 왕국을 상징하는 족자 의 끄라톤 궁전을 탈취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왕궁 경비대는 물론 네덜란드군이 철통같이 지키 는 그곳을 치려면 우선 지역적 반란을 일으켜 각 지역의 끄라톤 옹호세력들이 끄라톤을 지원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디포네 고로 왕자는 끄라톤을 고립시키고 유럽인들과 중 국인들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꺼두(Kedu) 위르요꾸수모 왕자(Pangeran Wiryokusumo) 이건 매우 정치적인 부분이야. 알라의 뜻에 따라 이 전쟁을 수행하는 이 조직엔 망꾸부 미 왕자님을 비롯한 어르신들이 수두룩한 상황이 디포네고로 왕자와 자바전쟁 배동선작가의 술술 읽히는 인도네시아 역사 20 지. 내가 자바땅의 술탄이 된 것은 그분들이 나보 다 못해서가 아닌데 에루쪼끄로의 권위를 그분들 도 아닌 다른 사람과 나누는 모습은 우리들 사이 에 분란을 가져올 걸세.” “저는 종교적 부분을 감당한 능력이 있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해온 일이기도 하고요!” 이 논쟁은 필요 이상으로 격해졌고 디포네고로 는 끼아이 모조의 정치적 고집이 점점 더 버거워 졌습니다. 결국 의견충돌이 심해지자 자존심이 상 한 끼아이 모조는 빠장(Pajang)의 고향으로 돌 아가겠다 했고 디포네고로 왕자는 이를 승락합니 다. 그렇게 서로 떨어져 머리를 식히고 나면 언젠 가 초심으로 돌아가 함께 일할 시간이 다시 올 것 이라 믿으면서 말입니다. 물론 끼아이 모조가 디포네고로 왕자에게 악의 를 가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도 이 전쟁을 이기 고 싶었어요. 단지 디포네고로를 비롯한 많은 이 들이 원하는 것 이상의 주도적인 역할을 스스로 원했던 거죠. 그래서 그는 디포네고로에게 사전 연락도 이슬람 울라마들의 강권에 따라 ‘자바 땅의 술탄 압둘하미드 헤루짜 끄라 아미룰묵미닌 사이딘 빠나따가마 깔리파뚤 라’ (“Sultan Abdulhamid Herucakra Amirulmukminin Sayidin Panatagama Kalifatullah Tanah Jawa)라는 칭호의 술탄으로 추대받았습 니다. 어린 시절 스스로에게 붙였던 ‘압둘 하미 드’라는 이름도 녹아든 이 긴 칭호는 그가 자바 의 칼리파임을 천명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그 옛날 아버지 하멍꾸부워노 3세의 임종 당시 약속 했던 것처럼 족자 술탄국이라는 일개 왕국의 국왕 이 아니라 자바 전체를 아우르는 이슬람 왕국의 술탄이 된 것입니다. 그는 쁠레레드에 견고한 방 어선을 구축했습니다. 하지만 1826년 4월 16일에 망꾸느가라안 봉국 의 군대가 쳐들어와 디포네고로군의 쁠레레드 방 어선을 무너뜨렸습니다. 일단 순순히 후퇴한 디포 네고로군은 얼마 후 네덜란드가 물러난 후 다시 쁠레레드를 차지했지만 그해 6월 6일 마두라 군 대의 지원을 등에 업은 코치우스 대령(Kol Cochius)의 네덜란드군과 족자 끄라톤에서 출정한 수리아 왕자(Pangeran Suria) 이슬람국가 건설에 대 해 반대입장에 있는 사람들 집안에 하인이나 마구 간지기 등을 포섭하거나 첩자를 들여보내 비밀리 에 정보를 수집했던 것입니다. 지난 호에 이어 한인뉴스 2024년 10월호 I 27 그가 하멍꾸부워노 4세의 죽음을 통지받기 전에 미리 알고 끄라톤으로 달려갔던 것도 그런 정보망 이 작동했던 것입니다. 그는 백성들을 동원해 1825년 중반까지 쌀을 대 량으로 구매해 군량미로 비축하기도 했으니 비밀 리에 전쟁을 대비한 것은 분명한 일입니다. 그의 아버지 하멍꾸부워노 3세가 1813년 승하한 이후 12년이란 짧지 않은 기간동안 디포네고로 왕자가 지역적 기반을 공고히 다지며 용의주도하게 사회 적 이슬람의 포교자 조요위노토 왕자(Pangeran Joyowinoto)에게는 족자 남쪽 방면을 맡 겼고요. 구눙 키둘(Gunung Kidul)은 싱오사리 왕자(Pangeran Singosari)와 와라꾸수모 왕자 (Pangeran Warakusumo)에게 지방총독( 주지사) 지방총독의 비서 클리렌스 중령(Letkoll Cleerens) 자네는 뜨갈과 뻐깔롱랑으로 나가 적 들이 더 이상 진출하지 못하게 하시오!” “사령관 각하 하층 자바인 복장(우) https://m.kiblat.net
한인회 연락처
서식다운로드
기업 디렉토리
참여마당
일정표
사이트맵
사이드 메뉴
한인기업 디렉토리
한인업체 등록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