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망꾸부미 왕자

연관태그 검색 [태그 in 태그]
500명의 지지자 들이 모여 있었습니다. 그들은 네덜란드군이 디포 네고로 왕자를 체포하기 위해 곧 들이닥칠 것이란 소문에 동요하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디포네고로 왕자가 그들 앞에 나섰고 망꾸부미 왕자가 그 곁 에 섰습니다. “이런 날이 올 것을 몰랐던 것 아니지 않은가? 하 지만 이곳은 네덜란드 기병대와 전투를 하기엔 매 우 불리한 곳이니 시종들이 저들을 막는 동안 주 력은 뜨갈레조가 완전히 포위되기 전에 여기 망꾸 부미 왕자님을 따라 빠져나가 추격을 뿌리친 후 후방에서 집결해야 한다.” 스미사르트 주지사는 1825년 7월 20일 디포네 고로 왕자가 망꾸부미 왕자와 함께 반란을 일으킨 것으로 간주하고 부지사 쉐팔리에(Chevallier)를 시켜 부르데부르크 요새의 기병대를 지휘해 왕자 의 저택을 포위하도록 명령했습니다. 그러나 뜨갈 레조의 초입에서부터 그들은 디포네고로 지지자 들의 강력한 저항과 마주해야 했습니다. 남쪽과 동 쪽으로부터 밀고 들어가는 네덜란드군은 저항군 이 마치 잘 조련된 군대처럼 전술적으로 방어선을 만들고 조직적으로 조금씩 물러서는 모습에 내심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현저한 화력 의 차이를 보인 전투에서 디포네고로 시종들의 전 열은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했습니다. 서로 적잖은 인명피해를 교환하는 사투를 벌인 끝에 네덜란드 군은 방어선을 뛰어넘었고 sanyari bumi ditohi tekan pati!”(사두묵 바뚝 “어서 오세요. 세랑 왕자님!” 슬라롱의 본진에선 디포네고로 왕자는 물론 가웍 전투에서 디포네고로 왕자의 생명이 경각을 달리는 상황이 벌어져 끼아이 모조와 망꾸부미 왕자의 부대는 중 상을 입은 디포네고로 왕자를 말에 싣고 급히 머 라삐산 기슭으로 후송해야 했습니다. 가웍 전투의 후반은 엉망이 되어버렸죠. 용한 의사들이 달려들 어 치료했지만 디포네고로 왕자는 한동안 사경을 헤매야 했습니다. 그러다가 마침내 의식을 되찾고 회복하기 시작합 니다. 1826년 동인도의 역사는 그를 쉽사리 놓아 주지 않았던 것입니다. 자바땅의 절반이 그만 바라 보고 있었으므로 그는 마냥 누워있을 수 없었습니 다. 그는 가웍 전투로부터 한달이 좀 넘은 1826년 11월 17일 아직 성치 않은 몸을 억지로 일으켜 전 선으로 돌아갔고 족자 서쪽의 뻥아시(Pengasih) 에 본진을 설치하고 전쟁을 속개했습니다. 그해 12월 1일 삼비로조 부대장 망꾸디닝랏 왕 자(Pangeran Mangkudiningrat)가 기어이 네덜 란드 총독부 꺼두(Kedu) 지역 부지사 반 발크 (van Valck)에게 항복한 것은 이미 예견된 일이 었습니다. 하지만 그가 제시한 항복조건을 네덜란 드군이 수용하지 않았음에도 항복을 강행한 이 사 건으로 네덜란드군은 크게 고무되었고 이젠 디포 네고로군 지휘관들 모두에게 전향을 권하며 회유 해 왔습니다. 디포네고로군에는 망꾸디닝랏 왕자 말고도 하멍구부워노 2세의 왕자들 걱정 마시오. 내가 우리 군대를 보내 손을 좀 봐 주겠소.” 혀를 쯧쯧 차던 망꾸느가라 2세가 그렇게 장 담했습니다. 그는 자기 사위인 라덴 마스 수웡소 (Raden Mas Suwongso)에게 여단 규모의 보병 과 기마대를 주어 족자 술탄국으로 들어가 네덜란 드군을 돕게 했습니다. 그러나 족자 시내로 접어 들기 직전 끄라톤에서 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깔 라산(Kalasan) 지역 란두군띵(Randugunting) 이라는 곳에서 그들도 디포네고로군의 기습공격 을 받았습니다. 허를 찔린 망꾸느가란의 대군이 거의 전멸당하다시피 했고 지휘관 라덴 마스 수웡 소는 사로잡혀 슬라롱의 디포네고로군 본진에 끌 려갔습니다. http://www.tugassekolah.com 26 I 한인뉴스 2024년 11월호 “당신 장인어른께 전하시오. 계속 알라의 뜻을 거스려 네덜란드를 돕는다면 망꾸느가란 봉국 역 시 가만 두지 않을 거라고 말이오.” 디포네고로 왕자는 벌벌 떨던 수웡소에게 잔뜩 겁을 준 후 풀어주었습니다. 망꾸느가란 봉국 왕 실의 인사를 처형해 굳이 철천지 원수를 지고 싶 지 않았던 것인지도 모릅니다. 로그록과 란두군띵을 비롯해 여러 전투에서 디 포네고로군이 모두 이겼다는 소식에 족자 끄라톤 의 왕족들은 끄라톤 침공이 임박했다고 여겨 두려 움에 떨었고 급기야 브레더부르크 요새로 들어가 보호를 요청할 정도였습니다. 반면 일반 백성들은 크게 고무되어 디포네고로군의 군세는 더욱 증강 되었고 저항전쟁은 자바 전역으로 번져나갔습니 다. 끄라톤 왕궁 안에 머물던 높은 울라마들도 궁 을 나와 디포네고로군에 속속 합류했습니다. 족자 끄라톤 왕족들의 우려와 같이 디포네고로 군은 이윽고 끄라톤 공격을 감행했습니다. 뜨갈레 조 전투로부터 3주만의 일입니다. 이 작전에 동원 된 디포네고로군 병력은 6천 명에 달했습니다. 그 들 중 아부 바까르 왕자(Pangeran Abu Bakar) 가 이끄는 제1대는 빠꾸알라만 봉국을 동쪽으로 부터 치고 들어갔습니다. 아부 바까르 왕자는 술 탄 하멍꾸부워노 3세의 아들로 디포네고로 왕자 와 형제관계였죠. 그는 쪼데 강(Kali Code)의 다 리를 파괴해 빠꾸알라만 봉국의 군대가 족자 술 탄국을 지원하지 못하도록 봉쇄하고 그곳의 중국 인들 경제적 선 무작업을 통해 네덜란드군이 주민들을 보호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려 했습니다. “하지만 비협조자들에 대한 무거운 처벌은 필수 적이오. 단지 네덜란드군이 직접 나서지 말고 현 지 영주들 손에 피를 묻히도록 하란 말이오!” 네덜란드는 그 일환으로 전쟁지역에 영지를 가 진 귀족들을 압박해 해당지역 민중들의 ‘불법행 위’를 통제하려 했습니다. 네덜란드에게 협조하 지 않는 사람이 적발될 경우 주민들 전체에게 집 단적 책임을 물어 마을을 통째로 불사르기도 했습 니다. 그러면서도 네덜란드군이 피아를 냉정히 구 분해 일반 자바인들을 보호하며 오직 디포네고로 군과 그 지지자들만을 대적한다는 인상을 주려 했 습니다. 이 작전은 적잖은 효과를 보여 디포네고 로군에 대한 일반 백성들의 지원이 현저히 줄어들 기 시작했습니다. 19세기 자바복식 (https://kumparan.com) 이러한 벤뗑 스텔셀 작전이 주효해 움직임이 제 한된 디포네고로군은 수세에 몰리게 되었습니다. 기동력을 최우선으로 하는 디포네고로군의 게릴 라 전술에 제동이 걸린 것입니다. 이제 드콕 장군 의 부대는 디포네고로군을 추격할 필요가 없게 되 었습니다. 시간이 경과하며 자바 전역에 약 200개 의 요새가 건설되어 통신로가 거미줄처럼 연결되 자 그 통신로를 넘으려는 디포네고로군 부대들의 시도가 쉽게 발각되고 또 좌절되기도 하면서 그간 유기적이었던 디포네고로군 각 부대간 통신과 연 계가 깨졌고 정보력도 극히 제한되기 시작했습니 다. 그 결과 그동안의 강점을 잃게 된 디포네고로 군은 웅아란(Ungaran)을 시작으로 스마랑의 지 방총독청 전투에서도 패전을 겪으며 많은 병력과 지휘관들을 잃게 됩니다. 그러나 스텔셀 요새작전이 곧바로 네덜란드의 승리로 이어진 것은 아닙니다. 그 사이에도 네덜 란드는 꺼두 지역의 여러 전투에서 고전했고 특히 반유마스에서는 디엘 중령 경제적 역량을 완전 히 바닥낼 정도로 치열하게 전개된 이 전쟁이 고 작 디포네고로 왕자의 조상 묘역을 파헤치려는 네 덜란드와의 말뚝 분쟁으로 시작되었다고 말하는 것은 너무나 피상적인 관점일 것입니다. 그 배경 은 분명 훨씬 더 깊고 입체적일 터이죠. 다음 호에 계속 서쪽지역에 묵었습니다. 다른 부인들은 먼저 일찍 죽거나 전장에 따라나서지 않은 상태에서 라덴 아 유 렛나닝시만이 자바 전쟁 초기부터 전쟁 마지막 날까지 디포네고로의 곁을 충실히 지켰습니다. 디포네고로 왕자는 그곳에 군대의 본진을 설치하 고 조요멍골로(Joyomenggolo) 군사 적으로 지지했으므로 실제로 족자 술탄국의 왕가 와 귀족 절반이 디포네고로 왕자의 지휘를 받으며 네덜란드군과 맞서게 되었던 것입니다. “왕자 전하! 문안 드리옵니다.” 이슬람 학자와 쁘산트렌 학생 복장을 한 수백 명 의 병사들을 이끌고 깔리사카에 나타난 한 남자가 한인뉴스 2024년 9월호 I 35 천 명의 디포네고로군 장병들이 사망했고 네덜란 드군도 8천 명의 사상자를 냈습니다. 디포네고로 군은 게릴라 전술에 능했고 매복공격으로 네덜란 드군 병참로를 속속 차단했는데 정작 네덜란드군 은 일관성 있는 전략이나 제대로 된 응전의 결기 도 없었으므로 전쟁 초반 속수무책으로 당하면서 피해가 컸습니다. 자바전쟁은 자바의 구시대와 근대 귀족들은 자신의 일거수일투족 을 통제하려 했고 자신의 주변을 맴도는 네덜란드 뻥아시 한인뉴스 2025년 2월호 I 29 군은 든든하기보다는 위협적으로 느껴질 뿐이었 습니다. 자기 편이 아무도 없는 궁전에서 어린 술 탄은 목숨을 보전하기 위해 모든 사람들의 눈치를 봐야만 했습니다. 한편 네덜란드군은 1828년에 보다 전략적 요충 지라 판단한 마글랑으로 그 본진을 옮겼습니다. 이 곳은 농민군의 저항을 보다 손쉽게 격퇴할 수 있 는 전략적 지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네덜란드군 은 보다 현대화된 무기로 전력을 보강했고 그 녀석은 내가 끄라톤에 돌아왔다 해도 금방 약해져서 전쟁을 그르칠 놈이 아니다.” 늙고 병든 몸으로 고향땅에 돌아온 하멍꾸부워 노 2세는 결과적으로 네덜란드의 회유공작에 빌 미가 된 셈이지만 애당초 디포네고로의 동기를 누 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있던 사람이었습니다. 하지 만 삐낭섬으로 유배를 간 1813년 이후 사랑하던 장손자 디포네고로와 그 진영에 속한 후손들을 다 시는 만나지 못한 채 그렇게 유명을 달리 하고 이 모기리의 묘역에 묻혔습니다. 그로부터 2주 후인 1월 17일 하멍꾸부워노 5 세가 다시 술탄의 왕좌에 올랐습니다. 처음 왕위 에 올랐던 1823년엔 천진난만한 세 살박이 영아 였지만 이제 두 번째 다시 왕위에 오른 그는 야박 한 세상인정을 너무 일찍 알아버린 소극적이고 조 심성 많은 여덟 살 소년이 되어 있었습니다. 왕국 의 최고봉에 섰지만 세상은 그에게 무섭기만 한 곳이었습니다. 증조할아버지인 하멍꾸부워노 2세 는 자신을 폐위시켰고 삼촌인 디포네고로 왕자는 끄라톤을 호시탐탐 노리는 무서운 적이었으니까 요. 게다가 다누레조 2세 재상으로 대변되는 끄라 톤 궁전의 신료들 그러나 뭔가 능력을 보 여주기도 전인 6월 7일 그렇게 군대를 나누면 슬라롱의 디포네고로군 본진을 칠 병력이 얼마 남지 않습니 다. 일부 지역을 잠시 포기하고 슬라롱 공격에 집 중하심이….” “적들이 우리 배후를 따라잡게 놔둘 수는 없는 디포네고로 왕자와 자바전쟁 배동선작가의 술술 읽히는 인도네시아 역사 16 일이요. 저들을 방치하면 우리가 슬라롱에서 섬 멸전을 벌이는 동안 족자를 동서 양쪽에서 압박해 오게 될 것이오.” 디포네고로 왕자의 봉기에 동조해 자바 전역에 서 들불처럼 일어난 백성들의 반란은 네덜란드군 이 자바섬 밖에서 힘겹게 소환해온 병력들을 적절 히 분산시키며 디포네고로군에게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1825년 10월 2일과 4일에 대대적인 슬라롱 공격이 감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때 디포네고로는 미리 공격정보를 파악 해 한발 앞서 덱소(Dekso)로 본진을 옮겼고 부녀 자들과 노인 그리고 네덜란드 편에 선 왕족과 귀족들을 말한다. 또한 족자 술탄국의 왕자들이 디포네고로 지원을 포기하거나 지원요청에 최소 한 피동적으로 반응하도록 만든다. 3. 디포네고로군이 점령한 족자 인근지역을 탈환 해 세금이 다시 걷도록 만든다. 4. 반군들을 ‘섬멸지역’인 쁘로고 강(Sungai Progo)과 보고원토(Bogowonto) 사이의 지역으 로 몰아 넣는다. 5. 반군의 최고 지도자 디포네고로를 생포한다. “하지만 반란 세력이 지금과 같은 조직력과 기동 력을 가지고 있는한 저들을 진압하는 것은 불가 능한 일이오. 노술탄을 데려와 그의 왕자들과 일 부 영주들을 전향시켰다 한들 그들이 있던 자리를 다른 지휘관들이 채워버리니 저들의 기세를 꺾을 수 없소. 그러니 디포네고로군의 조직력과 기동력 을 여하히 무너뜨리느냐 하는 것이 이 전쟁의 관 건인 것이오.” 이러한 맥락에서 1827년 초 드콕 장군은 작전 회의에서 이렇게 말하며 변칙적 요새전 전략을 수 립했습니다. 이것이 벤뗑 스텔셀(Benteng Stelsell) 그리고 자바 북부해안지 역 대부분을 포함한 자바섬 거의 전체가 전쟁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대규모 항전에 식민정부는 크 게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치열하고도 연 속적인 전투로 양쪽 모두 엄청난 인적 그보다 앞서 그 형제 인 망꾸디닝랏 왕자 금으로 표시된 지역은 수라카르타 수난 국과 족자 술탄국에서 이미 요새화된 지역들. 한인뉴스 2025년 2월호 I 27 나 내통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 래서 주택과 창고 꺼두 꺼두(Kedu) 지역의 끔방아룸 마을(desa Kembangarum) 등 여러 지역에 화약공장들을 비밀리에 세우고 본격적인 전쟁준비를 착착 진행 되었습니다. 이렇게 발생한 자바 전쟁은1825년부터 1830 년까지 5년간 자바땅 대부분을 휩쓸게 됩니다. 사 람들은 이를 디포네고로 전쟁이라고도 부르죠. 이 전쟁은 네덜란드가 동인도에서 예전엔 단 한번도 겪어본 적 없던 성격의 것이었습니다. 중부 자바 전부와 동부 자바 일부 끼 아이 모조와 망꾸부미 왕자 등 디포네고로군 수뇌 들이 모두 나와 병사들을 인솔하고 들어오는 세랑 왕자를 대대적으로 환영했습니다. 계속된 전투로 너덜너덜해져 있었지만 세랑 왕자는 믿음직한 미 소로 그들의 환대에 답했고 디포네고로의 삼촌 뻘 인 그는 이후에도 눈부신 활약을 했습니다. 드콕 장군은 디포네고로의 슬라롱 본진을 포위 하려 했지만 먼저 스마랑 끼아이 모조 등은 실소를 터뜨리며 조요꾸수모 왕자(Pangeran Joyokusumo)와 수르옝로고 왕자(Pangeran Suryenglogo)에게 강경한 거절답신을 쓰도록 했습니다. ‘네덜란드군이 무장해제하고 본국으로 돌아간다 면 그 길을 막지 않겠지만 계속 알라를 모욕하고 왕국을 침탈한다면 알라의 뜻에 따라 그대들에게 불지옥을 선사할 것이오. 불행한 파국을 피하기 위해 정녕 화친을 원한다면 당신의 고아슬라롱 방 문을 환영하며 신께 맹세코 당신과 일행들의 안전 을 보장하겠소.’ 그 회신을 받은 드콕 장군의 얼굴이 붉그락푸르 락 했습니다. 그는 슬라롱의 적진 한가운데로 걸 어들어갈 용기가 없었던 것입니다. “동인도 네덜란드군 총사령관인 내가 저들 진영 에 들어간다면 과연 저들이 날 가만히 둘 것 같은 가? 무슨 일이 벌어질지 뻔한 적진에 내발로 걸어 들어갈 수는 없는 일이오!” 그는 참모들에게 그렇게 말했지만 몇 년 후 그 스스로 디포네고로 왕자에게 자기 본진에 들어와 협상하자 말하게 되리라곤 그때 아직 상상하지도 못했을 것입니다. 디포네고로군의 기세가 점점 커지자 드콕 장군 은 자바 바깥에서 근무하던 장교들과 부대들을 불 러들여 자바 전선에 서게 했습니다. 그들 중 술라 웨시에서 불려온 노련한 반 게엔 장군(Jenderal Van Geen)은 스마랑에서 세랑 왕자(Pangeran Serang)의 부대를 압박해 들어갔습니다. 세랑 왕 자는 수꼬와티(Sukowati)로 진군해 까르토디르 자(Kartodirja)의 부대와 함께 렘방(Rembang) 단 한 치의 땅을 뺏으려는 누군가의 똔다노(Tondano) 유배 시절의 끼아이 모조 http://jembatan-pengetahuan.blogspot.com 34 I 한인뉴스 2024년 9월호 디포네고로 왕자에게 허리를 굽혔습니다. “무슬림 아니냐? 정말 반갑구나!” 오래 전 뜨갈레조에서 만났던 천재소년 무슬림 모하마드 칼리파는 수라카르타에서 저명한 이슬 람 선생이 되어 있었습니다. 그는 울라마 끼아이 모조(Kyai Mojo)라는 이름으로 명성을 얻어 수 라카르타 수수후난 빠꾸부워노 6세의 측근이 되 었고 일무 까누라간(Ilmu Kanuragan)이라는 신 비로운 능력을 익혀 전장에서 목소리 하나로 적들 을 격파하는 대비정규군 부대까지 포함해 압도적인 화력 으로 무장했고 수라카르타 수난국 동시에 디포네고로군의 지휘관들에게 끄라톤 궁전의 자 리를 보장하며 적극적인 회유작전에 나섰습니다. 1828년 4월 18일에는 망꾸부미 왕자의 아들 인 나타디닝랏 왕자(Pangeran Natadiningrat) 가 네덜란드의 포위망을 뚫지 못하고 사로잡히고 말았습니다. 이 사건은 망꾸부미 왕자에게 큰 부 담이 되었습니다. 1828년 말엔 뻐낭구한(Penangguhan) 에서 치열한 격전이 벌어져 네덜란드 군과 디포네고로군 사이에 심대한 사상자가 발생 했는데 네덜란드 측에선 반잉겐(Van Ingen)대위 와 쁘랑웨다나 왕자(Pangeran Prangwedana) 가 전사하고 디포네고로군 측에서는 최정에 만티 레조 부대(Pasukan Mantirejo) 사령관이 전사하 고서야 서로 군대를 물렸습니다. 1828년 내내 디 포네고로군은 왕자들이 속속 전사 또는 체포당하 거나 투항하면서도 네덜란드군과 대체로 호각을 유지하며 큰 펀치를 주고 받았습니다. 1829년 초 이번엔 네덜란드 측에 변동상황이 발 생했습니다. 신임총독으로 요하네스 반 덴 보쉬 (Johannes van Den Bosch)가 부임해 그동안 디 포네고로군을 야금야금 약화시켜온 드콕 장군을 해임하고 벤야민 비쑙 소장(Mayor Jendral Benyamin Bisschof)을 네덜란드 동인도군 총사령 관으로 임명한 것입니다. “저런 미개인들을 상대로 몇 년씩이나 전쟁을 끌 다니 우습지도 않은 일입니다. 한 달만 주시면 디 포네고로군의 주력을 완전히 와해시키겠습니다.” 그렇게 호언장담하며 1829년 5월 13일 총사령 관에 취임한 비쑙 소장은 드망(Demang) 등 높고 낮은 지위의 영주들이 협조하여 인력과 물자를 신속하게 움직 이면서 디포네고로군의 조직력을 과시했으나 정 작 가장 의미가 컸을 끄라톤 점령을 달성하지 못 한 것이 디포네고로 왕자에게는 못내 아쉬운 일이 었습니다. 그러나 디포네고로군은 이제 한껏 겁먹은 네덜 란드군을 줄기차게 밀어붙이며 승승장구하기 시 작했습니다. 꺼두에서 있었던 치열한 전투에서 불 키요(Bulkio)라고 이름붙인 농민군은 하지 우사 만 알리바사(Haji Usaman Alibasah)와 하지 압 둘까비르(Haji Abdulkabir)의 지휘 아래 드보스트 중령(letkol de Bost) 등 베테랑 지휘관들을 잃는 등 큰 손실을 입었습니다. 그러나 족자 남쪽방면에서는 1827년 6월 21일 족자 지방총독 반 로윅(Van Lowick)이 노또쁘로조 왕자(Pangeran Notoprojo) 와 세랑 왕자를 밀어붙여 마침내 항복을 28 I 한인뉴스 2025년 2월호 얻어내는 상황도 벌어졌습니다. 전쟁 초 반 눈부신 활약을 했던 세랑 왕자를 잃 은 것은 디포네고로군에겐 큰 손실이었 습니다. 지리한 접전 끝에 1827년 10월 10일 이 후 휴전이 발효되어 일단 전투가 멈추었지 만 종전협상은 매번 결렬되었습니다. “자바땅에서 네덜란드 민간인들의 상업활동을 인정할 테니 군대는 완전히 철수해야 할 것이오!” “반란군의 무장해제가 선행하지 않는 한 총독부 는 반란군의 그 어떤 요구도 수용할 수 없소.” 이렇게 갑론을박이 계속되었지만 어쨌든 휴전이 유지되던 시기에 디포네고로 왕자는 군세를 추스 르며 본진을 뻥아시 인근 삼비라타(Sambirata) 로 옮기고 그곳에 이슬람 자바 왕국의 끄라톤 궁 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벤뗑 스텔셀 전술에 따라 체계적으로 세운 요새들을 강화한 네덜란드군은 디포네고로군을 충분히 옥죌 수 있다고 판단되자 삼비라타 끄라톤 궁전 완공식을 기해 일방적으로 휴전을 깨고 기습공격을 감행해 왔습니다. 디포 네고로 왕자를 사로잡으려는 목적이었죠. 자신이 유리하다는 판단이 서면 매번 일방적으로 휴전을 깨고 상대방을 공격하는 네덜란드군의 행태는 비 단 디포네고로 전쟁에서뿐 아니라 훗날 1945년 이후 5년간 벌어지는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도 몇 번씩이나 똑같이 반복됩니다. 삼바리타는 불바 다가 되었지만 디포네고로 왕자는 뻥아시로 피신 했고 전쟁은 또다시 불붙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 양상은 디포네고로군이 일방적으로 승승장구 하던 전쟁 초반과는 사뭇 달랐습니다. 1828년이 밝으면서 노술탄 하멍꾸부워노 2세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1928년 1월 3일 77세를 일기 로 파란만장한 일생을 족자 끄라톤에서 마감한 것 입니다. 그 소식을 전해들은 디포네고로군도 애도 를 표했고 망꾸부미 왕자 역시 적진 한 가운데에서 세상을 떠난 아버지의 부음에 마음 아파 했습니다. “디포네고로 드콕 장군이 설명하는 동안 턱수염을 매만지거 나 콧수염을 비틀며 우려 섞인 표정을 짓던 지휘 관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네덜란드는 디포네고로 와의 전쟁에 이미 엄청난 전비를 쏟아넣어 총독부 의 금고가 바닥난 상태였고 때로는 병사들 급여조 차 주지 못할 정도로 쪼달렸는데 이제 사람과 물 자를 몇배로 더 동원해 다수의 요새를 자바 전역 에 짓고 그 요새 전부에 충분한 병력을 배치해 운 영해야 하는 스텔셀 요새작전은 더 큰 출혈적 지 출을 강요하는 것이었습니다. 네덜란드 고위 지휘 관들이 이 작전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 것은 당 연한 일이었습니다. “반란지역들이 수복되고 자바의 백성들이 농사 일로 돌아와야만 비로소 세금이 다시 걷히게 될 것이오. 그러니 디포네고로군을 압박하기 위한 이 작전이 비록 당장은 큰 비용을 소모한다 해도 장 기적으로는 분명 더 큰 경제적 보상을 가져오게 될 것이오.” 드콕 장군은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촘촘한 요새망이 강력한 포위망 역할을 하여 적의 이동을 지속적으로 방해하면 약화된 적을 섬멸할 기회가 분명히 올 것이라 믿었던 것입니다. 디포네고로 왕자와 자바전쟁 배동선작가의 술술 읽히는 인도네시아 역사 18 “이 작전의 목적을 달성하려면 주민들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오. 그러니 반란군과 일반 주민들을 철저히 구별하여 달리 대하고 병사들의 행패와 약 탈을 일절 금지해야 하오. 주민들의 마음을 얻기 위한 모든 방법을 강구하시오.” 네덜란드로서는 백성들이 디포네고로군을 돕거 지난 호에 이어 스텔셀 요새 작전 – 삼각형은 1827-1830년 사이에 만든 네덜란드군 요새 디포네고로 왕자는 아무렇지도 않은 듯 그렇게 대답했지만 그 역시 마음부담이 큰 것은 마찬가지 였습니다. 네덜란드가 노술탄을 모셔온 이유는 뻔 한 것이었습니다. 영국에 의해 폐위당하기 전까지 노술탄은 관료들과 백성들의 전폭적 사랑을 받았 을 뿐 아니라 디포네고로 왕자의 친조부였으니 디 포네고로 왕자가 당장 찾아와 조부 앞에 무릎을 꿇지는 않을지라도 하멍꾸부워노 2세와 인연이 깊은 디포네고로군 지휘관들을 심리적으로 흔들 어 반란의 열기를 꺾겠다는 것이었죠. 디포네고로 군의 병사들과 대부분 귀족들에게는 실제로 별다 른 동요가 없었지만 하멍꾸부워노 2세 시대에 끄 라톤 생활을 했던 왕족들에겐 직격탄이 되었습니 다. 어린 시절에 할아버지의 관심과 사랑을 듬뿍 받았던 디포네고로 왕자 역시 이제 족자 끄라톤에 서 다시 술탄이 되어 왕좌에 앉은 하멍꾸부워노 2 세의 존재가 마음에 걸리지 않을 리 없었습니다. 1826년 10월 망꾸느가란 봉국을 공격하려고 우 선 수라카르타 서쪽 가웍(Gawok)에 모여 있던 디포네고로군을 네덜란드군이 먼저 공격해 왔습 니다. 디포네고로군의 병력은 6천 명이었고 네덜 란드군은4천 명이었지만 네덜란드군은 기병대와 포병 또는 스텔셀 요새작전이라 불리게 되는 전 술입니다. 네덜란드군이 디포네고로군 지역을 탈 취하면 즉시 그곳에 신속하게 간이 요새를 세우고 가시철조망을 둘러쳐 방어력을 높였는데 그 요새 들을 계속 개축해 강화하고 요새들간의 거리를 촘 촘하게 유지하면서 요새간의 통신로에 병력을 수 시로 기동시켜 신속한 연락과 도로경계를 강화한 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로서 이제까지 어느 한 지 점에 한정된 지역적 개념이었던 ‘요새’는 보다 역동적인 개념으로 변모했고 이 작전으로 디포네 고로군의 병력이 집중되거나 지역간 이동하는 것 을 제한하려 했습니다. “우리가 점(요새)과 선(통신로)를 강력히 방어 하면 면(지역)에 갖힌 반란군은 다른 지역과 연계 하기 어려워질 것이오. 그렇게 되면 저들의 조직 력엔 균열이 생길 것이고 비로소 승기가 우리에게 넘어올 것이오. “ 그 결과 선택의 여지가 줄어든 디포네고로군은 요새간 거리가 먼 쁘로고 강과 보고원토 사이의 지역으로 밀려날 텐데 네덜란드군은 그곳을 디포 네고로군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할 ‘섬멸지역’ 으로 계획하고 있었습니다. 다음 호에 계속 드콕 장군의 또다른 초상 (https://upload.wikimedia.org) 롱고 왕자(Pangeran Ronggo) 마글랑 (Magelang) 군수인 뚜멍궁 하디닝랏(Tumenggung Hadiningrat)과 손잡은 네덜란드군을 격파 하고 마글랑 군수의 목숨을 빼앗았습니다. 머노레 (Menoreh)에서도 네덜란드군을 쳐부수고 머노 레 군수 아리오 수모딜로고(Ario Sumodilogo) 를 죽였고요. 전세는 디포네고로군쪽으로 크게 기 울고 있었습니다. 이쯤 되자 1825년 8월 7일 드콕 장군은 양자 협 상을 요구하는 서한을 서둘러 디포네고로군에 보 냈습니다. 네덜란드로서는 당장 전쟁을 멈추게 하 진 못하더라도 시간이라도 벌어야 할 상황이었죠. 그런데 그 서한엔 대담하게도 이런 문구가 포함되 어 있었습니다. ‘자발적으로 무기를 버리고 투항하는 자들은 신 분의 귀천과 지은 죄의 경중을 따지지 않고 사면 해 줄 것이다’ 이 편지를 함께 열람한 고아슬라롱의 디포네고 로 왕자 말루꾸 망꾸느가라란 디포네고로 왕자와 자바전쟁 배동선작가의 술술 읽히는 인도네시아 역사 17 봉국 군대와 연합군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끼아이 모조가 강력하게 주장한 게릴라전 방식으로 시작 한 이 전투는 이제 전면전으로 전개되면서 네덜란 드군을 크게 이기고 있었습니다. 멀찍이 일단의 부대가 호위하는 언덕 위에서 전황을 바라보고 있 던 디포네고로 왕자의 마음 속에선 여전히 번민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치고 있었습니다. ‘어린 조카(하멍꾸부워노 5세)를 상대로 싸운 것도 부족해 이젠 할아버님과도 싸워야 한단 말인 가? 할아버님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네덜란드 의 요구에 응하신 걸까? 나이들어 마음이 약해지 신 걸까? 아니면 자바 백성들 전체가 들고 일어난 이 전쟁을 반대하시는 걸까? 왕족 지휘관들의 이 탈을 막기 위해 난 내 할아버님을 매도하고 비난 해야 하는 걸까?’ 치열한 전장에서 깊은 생각에 잠기는 것은 위험 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망꾸느가란 봉국군이 벌판에서 거의 궤멸되어가고 있었지만 용의주도 한 네덜란드군이 몰래 안배한 기병대가 디포네고 로군 사령진의 배후를 치고 들어왔습니다. 호위부 대의 한쪽 축이 무너지면서 네덜란드 기병들이 디 포네고로 왕자가 있는 언덕 위로 쇄도해 혼전을 벌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런 위급한 상황을 멀리 지난 호에 이어 한인뉴스 2025년 1월호 I 37 서 본 끼아이 모조와 망꾸부미 왕자가 자기 부대 를 이끌고 급히 디포네고로 왕자를 지원하기 위해 달려오기 시작했습니다. 그 사이 호위부대를 수적 으로 압도한 네덜란드 기병대를 상대로 디포네고 로 왕자는 끄리스 단검을 빼들고 마상대결을 벌였 죠. 그가 신비한 체술을 익혔고 신의 가호가 깃든 성물을 지녀 금강불괴의 신체를 가졌다는 소문이 파다했지만 네덜란드 기병들에게 둘러쌓인 그는 치명적 열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더욱이 그의 끄 리스 단검은 네덜란드 기병들이 휘두르는 장검에 비해 너무 짧아 디포네고로 왕자는 힘겹게 분투했 지만 빠져나오기 힘든 수세로 몰리고 말았습니다. 꽝! 하지만 정작 그를 쓰러뜨린 것은 네덜란드 기병 지휘관의 손에서 불을 뿜은 망꾸느가란과 빠 꾸알라만 봉국 망꾸부미 왕자에 못지 않은 중요한 직책에 올라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6월 9일 네덜란드군이 강력한 폭탄을 터 뜨려 성벽 일부를 무너뜨린 후 성안으로 밀려들자 전황은 디포네고로군에게 급격히 불리하게 전개 되었습니다. 하루 종일 계속된 전투에서 많은 희 생자를 낸 디포네고로군은 크게 패한 채 물러나야 했고 네덜란드군은 쁠레레드 수비를 위해 700명 의 병력을 남겨두었으나 디포네고로군은 더 이상 탈환 시도를 하지 않았습니다. 1826년 7월 8일 네덜란드군은 쁠레레드 승전의 여세를 몰아 다시 덱소를 공격해 왔습니다. 그러 나 이번에도 미리 정보를 입수한 디포네고로는 이 미 까수란(Kasuran)으로 본진을 옮긴 상태였습 니다. 하지만 이번엔 네덜란드군을 회피하는 것만 으로 그치지 않았습니다. 덱소를 더 이상 점령하 고 있을 이유가 없어진 네덜란드군이 7월28일 족 자로 철수하던 길에 디포네고로군은 회심의 기습 작전으로 적 부대의 허리를 끊었습니다. “알라후 악바르!” 쁠레레드 전투 삽화 (https://en.wikipedia.org) 디포네고로 전쟁 네덜란드 지원을 협의하는 마두라 술탄과 재상 (https://m.kiblat.net) 한인뉴스 2024년 12월호 I 23 신은 위대하다고 외치며 수풀 속에서 느닷없이 뛰어나와 아귀처럼 달려드는 디포네고로군은 앞 서 몇 번의 승전으로 자만에 차있던 네덜란드군 을 강타했습니다. “적장을 잡아라! 쁠레레드에서 당한 것을 철저히 갚아 주어라!” 이 전투에서 코치우스 대령과 족자 끄라톤의 두 왕자가 처참하게 전사했고 네덜란드군 사령관 환 긴(van Geen)은 간신히 목숨만 살려 수하 몇 명 과 도주하는 수모를 겪었습니다. 이 전투에서 네 덜란드군은 거의 전멸하다시피 했고 디포네고로 군은 또다시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디포네고로 왕자는 이후1826년 내내 네덜란 드와 망꾸느가라안 봉국의 군대들을 맞아 승승 장구했습니다. 바글렌에서도 농민군이 네덜란 드군을 몰아냈고 끄지완(Kejiwan)에서도 베이 왕자(Pangeran Bei-조요꾸수모 왕자)가 승전 보를 전해왔습니다. 족자 북동부 방면의 들랑구 (Delanggu) 지역에서는 양쪽의 대군이 맞붙는 매우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는데 전황이 디포네고 로군에게 크게 유리해지면서 네덜란드군을 헤치 고 나가 결과적으로 ‘들랑구 대첩’이라 불려 마 땅할 큰 승리를 거둡니다. 여기서 디포네고로군은 수십 정의 소총과 12문의 화포를 노획했습니다. 그후 한동안 네덜란드군의 활동이 크게 위축되 자 디포네고로군 전략고문이 되어 있던 끼아이 모 조의 제안에 따라 디포네고로 왕자는 수라카르타 지역에서 망꾸느가라안 봉국에 대한 대규모 공세 를 조직했습니다. 네덜란드측에 가담해온 망꾸느 가라 2세를 응징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술탄 전하 머르타사나 왕자가 그들의 아버지 하멍꾸부워노 2세와 함께 말레이 반도 삐 낭섬으로 유배된 후 뒤에 남은 형제들의 맏형이 된 망꾸부미 왕자는 자기 수하 백수십 명을 총동 원해 뜨갈레조로 향하며 속으로 중얼거렸습니다. 지난 호에 이어 한인뉴스 2024년 9월호 I 33 ‘나도 너희 말 들을 놈 아니다.’ 그도 하멍꾸부워노 2세의 반골기질을 그대로 물 려받은 인간이었던 것입니다. 조카를 만나러 온 망꾸부미 왕자는 디포네고로 왕자를 끄라톤으로 데려가긴커녕 그와 의기투합하여 함께 네덜란드 와 맞서 싸우기로 했습니다. 디포네고로 왕자가 삼촌 망꾸부미 왕자를 얼싸안던 그때에 망구부미 의 전향을 알게 된 다누레조와 네덜란드 측은 망 꾸부미에게 속은 것에 분개하며 마침내 본격적으 로 군대를 풀었습니다. 1825년 7월 21일의 일입 니다. 네덜란드군이 뜨갈레조로 들어가는 길을 폐 쇄했을 때 디포네고로의 저택에는 망꾸부미 왕자 가 데려온 사람들까지 포함해 1 물적피해 를 감수해야 했는데 네덜란드측 문헌에 따르면 이 전쟁 중 약 20만 명 정도의 자바인 민간인들과 7 고아 슬라롱 https://gudeg.net | https://rentalmobilyogyakarta.net 자바 전쟁 www.youtube.com 민중들을 억압하는 영주들을 칭하 는 것이었습니다. 이제 그 성전을 수행해 가던 중 바글렌 바후유다 (Bahuyuda) 반유마스 마디운 발리에 주둔하고 있던 나머지 군대들도 모두 자바로 불러들였고 유럽 본토에서 도 병력을 충원해야 했습니다. 다음 호에 계속 보조느가라(Bojonegara) 등의 농민군을 이끌고 있었는데 스마랑에서 벌어진 반 게엔 부대와의 전투에서 까르토디르자가 다리에 총을 맞고 적에게 사로잡히자 수세로 몰려 마디운 으로 후퇴했다가 그 후 슬라롱에서 디포네고로 왕 자와 합류했습니다. 다음 호에 계속 부임한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찌안주르(Cianjur) 전투에서 디포네고로군 이 전가의 보도처럼 사용하던 게릴라 전술에 걸려 전사하고 말았습니다. 만약 그의 전사가 몇 주만 늦었다면 전임사령 관 드콕 장군은 이미 본국행 범선을 타고 아프리 카 남단의 희망봉을 돌고 있었을지도 모를 일입니 다. 그러나 짐을 다 싸고 귀국준비를 하던 드콕 장 군은 갑작스러운 신임사령관의 전사로 급히 다시 전선에 복귀하게 되었습니다. 그로서는 이 지긋지 긋한 자바 전쟁을 영원히 잊어버릴 수 있는 기회 였는데 말입니다. 어쩌면 그는 디포네고로 왕자와 운명적 악연으로 엮여 있었던 것인지도 모릅니다. 이렇게 어수선한 상황에서 디포네고로군은 바글 렌과 반유마스에서 네덜란드군을 압박했고 족자 남쪽 방면에서는 베이 왕자의 농민군이 네덜란드 의 요새와 초소들을 공격했습니다. 네덜란드군은 술라웨시 블로라(Blora) 빠눌라르 왕자(Pangeran Panular) 빠라깐 마을(Desa Parakan) 사원에 대한 약탈을 금지하고 곡식을 빼앗거나 재산을 파괴하지 않도록 병사들 을 철저히 교육시켰습니다. 약탈과 행패는 주민들 의 증오와 저항만 살 것이고 결과적으로 그들이 디포네고로군에게 마음을 주는 결과로 이어질 터 였습니다. 그래서 군은 문화적 산과 들은 물론 그들의 부대 안에도 있을 것이란 의구심이 네덜란드군 고위 장교들 사 이에 팽배했습니다. 디포네고로는 그 사이 덱소에 본진을 갖추고 부대를 재편하면서 다음 전투를 준 비했습니다. 지난 호에 이어 한인뉴스 2024년 12월호 I 21 1825년 말 디포네고로군은 이모기리를 공격하 던 네덜란드군을 격파했고 족자술탄국 동쪽 지역 에서는 뚜멍궁 수로네고로(Tumenggung Suronegoro)가 이끄는 군대가 네덜란드군 방어선을 무너뜨리며 많은 소총과 화포들을 노획했습니다. 그러나 한편 족자 술탄국 서편에서는 전열을 정 비한 네덜란드군이 덱소의 디포네고로군 본진을 포위해 들어왔습니다. 치열한 방어전에서 적잖은 인명피해를 감수하면서도 디포네고로군은 네덜란 드의 예봉을 잘 막아냈습니다. 쁠레레드(Plered)는 1677년 마두라의 뜨루노 조요 왕자가 이끈 반란군에게 함락되기 전까지 마 타람 까르타수라 왕국의 수도였던 곳으로 왕가의 인물인 디포네고로 왕자에게 매우 의미깊은 곳이 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디포네고로는1825년 쁠 레레드를 손에 넣은 후 몹시 기뻐하며 덱소의 본 진을 쁠레레드로 옮겨오기까지 했습니다. 디포네 고로군이 이동과 기동력을 최우선으로 하는 게릴 라전 위주의 군대였다 해도 본진의 잦은 이동이 번거롭지 않을 리 없었지만 그들은 기쁜 마음으로 쁠레레드에 입성했습니다. 그곳에서 디포네고로 왕자는 모든 백성들과 귀족들 산야리 부미 디토히 뜨깐 빠 띠!) 뜨갈레조를 빠져나가기 직전 디포네고로 왕자가 지지자들에게 외친 이 자바어 문장은 그후 디포네 고로군의 모토가 되었는데 ‘머리를 한번 건드리 는 손가락에도 소문이 사실이었습니다. 노술탄께서 족자에 돌아오셨다는 것 말입니다.” 수라카르타 접경의 동쪽 지역으로 군대가 이동 하던 중 알리바사(사령관) 센똣 쁘라위로꾸수마 가 디포네고로 왕자의 말을 따라잡으며 우려섞인 표정으로 말을 꺼냈습니다. 일찍이 영국이 유배시 킨 노술탄 하멍꾸부워노 2세를 네덜란드가 족자 로 다시 불려들이기 위해 삐낭섬에 사람을 보냈다 는 소문이 그 사이 자바 술탄국 전역에 파다하게 퍼져 있었습니다. 그가 실제로 1826년 9월 21일 족자에 도착해 다시 술탄으로 즉위한 것입니다. “하멩꾸부워노 5세 전하를 폐위하고 노술탄께서 다시 즉위하셨다는 소문에 귀족들 사이에 동요가 있습니다. 특히 망꾸디닝랏 왕자님은 끄라톤으로 돌아가시겠다는 말씀을 공공연히 하고 다니는 모 양이고요.” 노술탄과 삐낭섬에 함께 유배되던 중 탈출해 우여 곡절 끝에 족자 술탄국에 돌아온 망꾸디닝랏 왕자 는 디포네고로군의 정예부대 중 하나인 삼비로조 (Sambirojo)의 부대를 지휘하고 있었습니다. 하멍 꾸부워노 왕가의 상당한 위치에 있던 그의 동요는 디포네고로군 전체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분으로선 다시 뵐 수 없을 거라 생각했던 아 버님이 돌아오셨으니 만감이 교차하겠지.” 다음 호에 계속 수라카르타 등지에서 벌어진 농민군의 저 항에도 맞서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디엘 중령(Letkol Diell)! 자네는 반유마스 의 반군들을 진압하고 수렝로고 왕자(Pangeran Surenglogo) 등 내로 라하는 왕족들과 귀족들도 디포네고로 왕자 편에 섰습니다. 자바 전쟁에서 디포네고로가 승기를 잡 던 시기에 궁성의 왕자 29명 중 15명 수리아디닝랏 왕 자(Pangeran Suryadiningrat)가 쁠레레드를 다 시 공격해 왔습니다. 네덜란드군 클리렌스 대령 덱소 22 I 한인뉴스 2024년 12월호 하지만 쁠레레드의 강고한 방어력에 네덜란드의 초반 공격은 무위에 그쳤습니다. 쁠레레드의 방 어선엔 용맹스러운 소년이 활약하고 있었는데 총 사령관 ‘알리 바사 쁘라위라디르조(Ali Basah Prawiradirjo)라 불리는 센똣 쁘라위라꾸수마 (Sentot Prawirakusuma)였습니다. 그는 당시 19살이었어요. 디포네고로의 다섯 번째 부인 라 덴 아유 렛나닝시의 이복동생이기도 합니다. 그의 아버지는 하멍꾸부워노 2세의 사위이자 디포네고 로 왕자의 장인어른이기도 한 라덴 롱고 쁘라위로 디르조(Raden Ronggo Prawirodirdjo)였고 앞 서 언급하였던 바와 같이 일찌기 마디운 반란의 수괴로 몰려 덴덜스 장군(General Daendels)에 게 죽임을 당한 인물입니다. 그런 이유로 네덜란 드를 극도로 미워한 센똣이 일찌감치 디포네고로 군에 합류해 끼아이 모조 술탄 하멍꾸부워노 5세를 비롯해 끄라톤 에 남은 왕족들 심리적 아동들은 수웰라(Suwela)라는 지 역으로 소개해 놓은 상태였습니다. 텅 빈 슬라롱 에 도달한 네덜란드군은 아무 것도 할 수 없었으 므로 디포네고로군의 정보력과 기동력에 혀를 내 두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디포네고로가 심어놓 은 눈과 귀가 아디네고로 왕자(pangeran Adinegoro) 아디위노토 수리요디뿌로(Adiwinoto Suryodipuro) 역내 중국인들 역에 도착할 때마다 날아 드는 현지 전황보고서는 사뭇 심상치 않았습니다. “족자 왕실의 귀족들이 대거 저쪽에 붙은 건 이 해할만한 일이지만 왜 자바 민중들마저 대부분 반 디포네고로 왕자와 자바전쟁 배동선작가의 술술 읽히는 인도네시아 역사 15 란군을 지지하는 거요? 민중들이 술탄에게 등을 돌렸단 말이오? 이곳 동인도에서?” 술탄이 버젓이 존재하는데 술탄의 반대편에 선 반란군의 수괴를 족자 술탄국 백성 대다수가 따른 다는 동향보고를 드콕장군은 믿을 수 없었습니다. 동인도에서 지냈던 지난 18년 동안 이런 현상을 그는 처음 보았던 것입니다. 동인도인들은 최소한 술탄에게 절대적으로 순종했으니까요. 그가 스마랑까지 도착한 것은 1825년 7월 29일 이었고 그는 다음날 수라카르타를 먼저 방문했습 지난 호에 이어 반 더 채펄런 총독 (채펄런 남작 고더 알렉산더 제라르 필립-좌)과 헨드리끄 마르쿠스 드콕 장군(우) 한인뉴스 2024년 11월호 I 25 니다. 그의 강권에 수난 빠꾸부워노 6세는 내키지 않았지만 디포네고로 반란 평정을 위해 네덜란드 를 돕겠다는 대답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드콕 장군은 같은 요청을 하기 위해 망꾸느가란 봉국으 로 가기 앞서 부관에게 먼저 명령을 내렸습니다. “지원군들이 다 모이기도 전에 끄라톤을 뺏긴다 면 큰 낭패가 아닐 수 없다. 저 느릿느릿한 인간들 을 믿을 수 없으니 스마랑 주둔군 일부를 빼서 신 속히 족자로 먼저 보내도록 하게.” 이 명령에 따라 께엠시우스 대위(Kapten Keemsius)의 부대가 즉시 스마랑을 출발해 최고 속도로 끄라톤을 향해 행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런데 그들이 족자로 가던 길목인 로그록(Logrok) 강가에 도착하자 무시요센티카(Musyosentika) 가 지휘하는 디포네고로군이 벼락같이 기습을 가 해 왔습니다. 습격을 예상치 못했던 네덜란드군은 지리멸렬하며 200여 명이 몰살당했고 족자 주지 사에게 전달하려고 운반해온 굴덴의 군자금도 탈 취당하고 맙니다. 뜨갈레조 사건 불과 며칠 후인 1825년 7월 말에 벌어진 이 전투는 디포네고로군 이 거둔 첫 승리였고 이 소식이 퍼져 나가자 입대 지원자들이 몰려들면서 디포네고로군 병력은 크 게 증강되기 시작했습니다. “그게 무슨 소린가? 칼을 들고 덤비는 반란군들 에게 총든 군대가 어떻게 패배한단 말인가?” 망꾸느가란 봉국에서 망꾸느가라 2세를 만나고 있던 드콕 장군은 네덜란드군이 로그록에서 대패 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자기 귀를 믿지 못했습니다. “장군 유럽인들의 거주지역을 불살랐습니다. 한편 아디네고로 왕자(Pangeran Adinegoro)가 이끄 는 제2대는 족자-마글랑-수라카르타를 잇는 도 로와 통행세 수금을 위해 설치된 관문들을 모두 점거해 지원군들 길목을 막았습니다. 그리고 블리 타르 왕자(Pangeran Blitar)가 이끄는 제3대가 족자 끄라톤을 빼앗기 위해 남쪽으로부터 공격해 들어갔습니다. 디포네고로군에 항거하는 군수들 의 도성내 주택들은 모두 파괴되거나 불태워졌고 곡물창고들을 공격해 탈취한 곡물을 도성 밖으로 빼냈습니다. 이로 인해 족자 침공이 끝난 후 도성 주민들은 심각한 식량난을 겪게 됩니다. 어린 술탄 하멍꾸부워노 5세는 궁전의 신료들과 함께 브레더부르크 요새로 피신했고 끄라톤 경비 대장이자 네덜란드군의 소령 계급장을 단 위로네 고로 왕자(Pengeran Wironegoro)는 디포네고 로군을 맞아 힙겹게 끄라톤을 수비해 함락을 면 할 수 있었습니다. 끄라톤 점령에 실패한 디포네 고로군은 도성 밖으로 일단 물러났으나 도심으로 통하는 모든 도로를 점거하고 봉쇄작전을 실행했 습니다. 이로 인해 족자는 한동안 마치 죽음의 도 시처럼 스산했고 지나는 사람들마저 거의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 정도면 충분히 위력을 보였으니 적 지원군들 을 회피하면서 전역에서 철수하시오.” 디포네고로 왕자의 명령에 따라 그의 군대는 족 자 봉쇄를 7일만에 풀고 포로들과 노획물자를 가 지고 슬라롱으로 돌아갔습니다. 족자 침공에는 수 바바드 디포네고로(디포네고로의 이야기) 최근 출간본에 등장하는 자바전쟁 삽화 한인뉴스 2024년 11월호 I 27 많은 뚜먼궁 유려한 몸통의 화승 권총이었습니다. “술탄 전하!” “디포네고로 왕자야!” 끼아이 모조와 망꾸부미 왕자의 부대가 네덜란 드 기병대를 몰아내며 이미 가까이 접근했지만 총 탄에 맞은 가슴에서 선혈이 솟구치며 디포네고로 디포네고로 전쟁 삽화 화승권총 왕자는 말에서 떨어지고 있었습니다. 풀숲에 쓰러 지는 디포네고로 왕자의 눈에 가웍의 파란 하늘이 한가득 들어왔습니다. (제5장 끝) 제6장 네덜란드의 반격 스텔셀 요새 작전 슬라미라(Selamira)를 출발해 쁘라기(Pragi) 동편에 도착해서 슨자티(Senjati)를 지나 적들이 쳐 올라온다. 저 수많은 이교도와 변절자들이 세 패로 나뉘어져 달려드는데 하나도 무섭지 않구나 38 I 한인뉴스 2025년 1월호 이것은 디포네고로 왕자 자신이 마카사르의 포 트 로테르담 요새에서 썼다고 알려진 ‘디포네고 로 이야기’에 등장하는 여러 시들 중 하나입니 다. 불굴의 호연지기가 빛납니다. 그가 네덜란드 와 그 동맹들을 대항해 벌인 이 전쟁의 성격은 기 본적으로 이슬람 성전인 지하드(Jihad)였고 그 지하드의 대상은 이교도들과 변절자들이었죠. 이교도란 이슬람 성도들을 공격하고 지배하려는 비무슬림 이슬람 울라마들의 강권에 따라 ‘자바 땅의 술탄 압둘하미드 헤루짜 끄라 아미룰묵미닌 사이딘 빠나따가마 깔리파뚤 라’ (“Sultan Abdulhamid Herucakra Amirulmukminin Sayidin Panatagama Kalifatullah Tanah Jawa)라는 칭호의 술탄으로 추대받았습 니다. 어린 시절 스스로에게 붙였던 ‘압둘 하미 드’라는 이름도 녹아든 이 긴 칭호는 그가 자바 의 칼리파임을 천명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그 옛날 아버지 하멍꾸부워노 3세의 임종 당시 약속 했던 것처럼 족자 술탄국이라는 일개 왕국의 국왕 이 아니라 자바 전체를 아우르는 이슬람 왕국의 술탄이 된 것입니다. 그는 쁠레레드에 견고한 방 어선을 구축했습니다. 하지만 1826년 4월 16일에 망꾸느가라안 봉국 의 군대가 쳐들어와 디포네고로군의 쁠레레드 방 어선을 무너뜨렸습니다. 일단 순순히 후퇴한 디포 네고로군은 얼마 후 네덜란드가 물러난 후 다시 쁠레레드를 차지했지만 그해 6월 6일 마두라 군 대의 지원을 등에 업은 코치우스 대령(Kol Cochius)의 네덜란드군과 족자 끄라톤에서 출정한 수리아 왕자(Pangeran Suria) 이후 거의 일방적으로 짓쳐 들어가 저택을 점령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디포네고로 왕자와 망꾸부미 왕자는 대부분의 수 하들을 거느리고 이미 그곳을 탈출한 후였습니다. 그 사실을 알고 격분한 쉐발리에 부지사는 디포 네고로 왕자의 저택을 완전히 불살라 버렸습니다. 뜨갈레조에서 고아슬라롱으로 퇴각 이 사건은 그 후 5년간 지속되는 자바 전쟁의 시 작을 알리는 폭죽이었습니다. 습격을 당해 밀려난 셈인 디포네고로 왕자가 이 사건을 아무렇지도 않 게 지나칠 리 없는 일이었습니다. “Sadumuk bathuk 일견 사자후(獅子吼)와 같은 공력을 과시했다고 합니다. 그의 이름은 수라카르타는 물 론 자바 역사와 인도네시아 역사를 나누는 경계선이라고도 합니 다. 네덜란드의 전비와 군사 전 쟁 시작 당시부터 디포네고로 왕자의 든든한 지원 군이었던 망꾸부미 왕자도 그중 한 사람이었죠. 당장은 더 이상 디포네고로군을 이탈하는 귀족들 이 나오지 않았고 특히 농민군으로 참전한 백성들 은 디포네고로 왕자에 대한 충성을 거두지 않았지 만 노술탄 하멍꾸부워노 2세를 이용한 네덜란드 의 심리전 공세는 왕족 지휘관들의 마음을 지속적 으로 흔들었고 백성들 사이에선 지휘관들에게 대 한 일말의 불신이 싹 텄습니다. 자바 전쟁이 한창이던 족자 술탄국의 전황 (https://m.kiblat.net) 한인뉴스 2025년 1월호 I 39 한편 네덜란드군 진영에서는 드콕 장군이 자바 전쟁 초기부터 다음과 같은 전술을 통해 전쟁을 수행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있었습니다. 1. 망꾸느가란봉국과의 동맹을 통해 디포네고로 를 고립시킨다. 군사적으로든 정치적으로든 ‘반란’은 나쁜 짓이라는 인상을 대중들에게 각 인 시킨다. 2. 디포네고로의 적들을 하나의 연대로 묶는다. 그 들은 다누레조 2세 재상과 그의 편에 선 끄라톤의 신료들 족자 술탄국 구석구석과 망꾸느가란 봉국까지 널리 알려져 있었습니다. 디포네고로 왕자와 망꾸 부미 왕자는 크게 반가워하며 그를 얼싸안았습니 다. 그의 합류는 전력에 큰 보탬이 될 뿐 아니라 빠꾸부워노 6세의 측근인 그의 존재는 네덜란드 의 압박 속에서 모호한 입장을 보이던 수라카르타 도 사실은 디포네고로의 저항을 내심 지지한다는 의미였기 때문입니다. 끼아이 모조는 이후 전장에 서 디포네고로군의 전략사령관이자 이슬람 큰 선 생으로서 정신적 지주가 되었습니다. 족자의 귀족들과 일반 민중들이 끝없이 밀려들 어 디포네고로의 휘하에 들었으므로 깔리사카에 서는 더이상 그들을 수용할 수 없어 뜨갈레조를 나온지 불과 며칠 만에 왕자는 더 넓은 곳을 찾아 옮겨가야 했습니다. 가족과 병사들을 거느리고 꿀 론쁘로고군 (Kabupaten Kulonprogo) 덱소 마 을(Desa Dekso)에 도달한 디포네고로는 거기서 다시 남쪽으로 방향을 꺾어 반뚤시(Kota Bantul)로부터 서쪽으로 5킬로미터 족자 지역 태수와 군수들 88명 중 41명이 그를 정치적 족자에서 남서쪽 으로 약 9킬로미터쯤 떨어진 고아 슬라롱 (Goa Selarong)이란 곳에 이르렀습니다. 그의 아내들 중 그를 따라 나선 라덴 아유 렛나닝시 (Raden Ayu Retnaningsih)와 하녀들은 고아 슬라롱 시도에도 목숨을 다해 저항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었습니다. 네덜란드의 도발과 공격을 절대 좌 시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철철 흘러 넘치는 외침 이었죠. 네덜란드군의 공격 반대방향인 북쪽으로 빠져나 간 디포네고로 일행은 네덜란드의 포위망을 벗어 나 일단 깔리사카(Kalisaka)에 도착했습니다. 자 바 전쟁의 첫 전투라 할 만한 뜨갈레조 전투는 결 코 디포네고로 왕자의 승리라고는 할 수 없는 결 과였지만 이 사건 소식이 자바 전역에 빠르게 전 파되었고 네덜란드에 대한 공개적 저항을 시작한 왕자의 행동은 백성들의 연민과 응원을 불러 일으 켰습니다. 그 결과 수많은 추종자들이 깔리사카로 몰려 들었습니다. 한편 왕족들과 귀족들도 디포네고로 왕자에 대 한 지지를 밝히거나 직접 병력을 데리고 모여들 었는데 수라카르타의 빠꾸부워노 6세도 은밀한 지지를 보냈고 가갈딴(Gagartan)군의 영주 라 덴 뚜먼궁 쁘라위로디자야(Raden Tumenggung Prawirodijaya) 즉 네덜란드인들과 중국인들이었고 변 절자란 네덜란드군을 도와 디포네고로군과 대적 하는 무슬림들 즉 디포네고 로의 삼촌뻘 왕족들이 다수 포진하고 있었고 클리렌스 중령(Letkoll Cleerens) 자네는 뜨갈과 뻐깔롱랑으로 나가 적 들이 더 이상 진출하지 못하게 하시오!” “사령관 각하 하지만 그것이야말로 다누레조 재상이 노리던 반응이었죠. 당시 뜨갈레조 저택과 그 일대에는 디포네고로 왕자 주변으로 모여드는 이슬람 학자 들과 청년들 숫자가 무섭게 늘어나고 있었습니다. 그 숫자가 여단급 부대 병력규모에 가까워지자 지 척의 끄라톤 궁전을 장악한 다누레조 재상은 물 론 브레더부르크 요새의 네덜란드군에게도 적잖 은 부담이 되던 차였습니다. 그들로서는 어떻게 든 빌미를 만들어 디포네고로 왕자를 제거하거나 최소한 그의 힘을 크게 위축시킬 필요가 있었습니 다. 그러던 차에 다누레조 재상이 도로계획의 방 향을 뜨갈레조로 틀어 디포네고로 왕자를 격분시 키는 묘수를 생각해 냈던 것입니다. 조상의 묘소 가 파헤쳐질 것을 알고도 가만 있을 후손이 있을 리 없을 터였고 디포네고로 왕자는 그 미끼를 덥 썩 물고 만 것이죠. “더 이상 디포네고로 왕자가 제멋대로 구는 꼴을 봐줄 수 없소. 이번 도로공사는 왕국을 위해서도 우리 네덜란드를 위해서도 더 없이 중요한 일이 요. 그런데 그가 말뚝 박는 사람들을 때리고 우리 측량사들을 쫒아 냈으니 이건 반역행위와 다름 아 니지 않소? 당신이 디포네고로 왕자를 끌고와 사 과를 시킨다면 모르되 그렇지 않다면 왕족이든 귀 디포네고로 왕자와 자바전쟁 배동선작가의 술술 읽히는 인도네시아 역사 13 족이든 상관치 않고 뜨갈레조로 쳐들어가 그곳을 초토화시키고 말겠소!” 네덜란드 지방청사에서 다누레조 재상을 뒤에 세운 채 목에 핏대를 세우던 스미사르트 주지사 /지방총독(Resident Smissaert)은 디포네고로 왕자의 삼촌 망꾸부미 왕자(Pangeran Mangkubumi)에게 노발대발하며 디포네고로 왕자를 잡아들이라고 악을 써댔습니다. 물론 망꾸부미 왕 자가 이 사태를 잘 무마할 것이란 기대는 아무도 하지 않았습니다. 총독부와 다누레조 재상은 최소 한 아무런 중재나 절충도 없이 디포네고로 왕자를 무조건 공격했다는 세간의 비난만은 피하고 싶었 던 것입니다. “디포네고로 왕자가 내 말을 들을 녀석은 아니지 만 한번 얘기는 해 보겠소.” 하멍꾸부워노 3세가 죽고 한편 뜨갈레조 사건을 보고받은 바타비아의 네 덜란드 총독 반 더 채펄런(Van der Cepellen)은 디포네고로 왕자를 상대할 야전사령관으로 헨드 리끄 머르쿠스 드콕 장군을 선임합니다. 그는 당 시 40대 중반의 활동적인 군인으로 원래 해군에 입대해 1807년부터 동인도에서 근무하기 시작했 지만 1821년에는 수마트라의 빨렘방(Palembang)에서 육전으로 현지반란 진압을 성공적으 로 수행한 전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지금 동인도 전역에서 발생한 크고 작은 반란들이 한 두 개가 아니오. 족자에서 벌어진 저 반란을 신속 히 진압하고 돌아와 주시오. 장군이 할 일이 많소.” 채펄런 총독이 이렇게 말할 때까지만 해도 드콕 장군은 미개한 자바 내지에서 한 두 달 안에 반란 을 진압하고 당시 바타비아에 상륙해 있던 유럽문 명으로 속히 돌아와 안락한 생활을 즐기려 했습니 다. 하지만 일단의 부대가 호위하는 마차를 타고 중 부 자바로 향하는 동안 항고위끄로모(Hanggowikromo) 같은 지휘관들을 통해 군대 체계를 편성했습니다. 그와 동시에 족자 남쪽 게게르 마을(Desa Geger)과 끼둘(Kidul)산 지역
한인회 연락처
서식다운로드
기업 디렉토리
참여마당
일정표
사이트맵
사이드 메뉴
건강 및 다이어트 다이어트를 성공적으로 지속하려면 체중 조절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안정도 중요합니다. 스트레스는 다이어트의 적으로, 과도한 스트레스는 폭식이나 불균형한 식습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식이요법과 운동 계획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브랜드 읽어주는 여자스트레스 관리와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유지하는 것이 장기적인 성공을 보장하는 핵심입니다. 꾸준한 습관 형성으로 건강과 체중을 동시에 관리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https://joo-da.tistory.com/임플란트 임플란트는 치아 손실 후 가장 효과적인 대체 수단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이 시술은 치조골에 인공 치근을 심고, 그 위에 크라운을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치과에서의 정밀한 검사가 필수적이며, 치아 읽어주는 남자 치아 상태에 따라 맞춤형 계획이 세워집니다. 임플란트의 주요 장점은 내구성과 자연스러운 외관이지만, 시술 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치과 방문과 구강 위생 관리로 임플란트의 수명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https://dentalnam.com/고객센터 고객센터는 고객과 기업 간의 중요한 소통 창구입니다.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궁금한 사항이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고객센터를 통해 제품의 환불 절차, 사용법 안내, 서비스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주황오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고객의 요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는 것이 기업의 신뢰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만족스러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https://teetoo.co.kr/…
삥땅동 2024-10-16
한인기업 디렉토리
한인업체 등록안내